2025.09.04 THU 9PM (목요일 오후 9시)

 

Radio Endless :
Designed Sensation Within Music
— 음악안에 설계된 감각

높은 음들은 머리 위에서 유연히 움직이고, 낮은 음들은 바닥을 울리며 거대한 생명감으로 사운드들이 물결처럼 몸 전체를 일렁이며 감쌉니다.

음악은 형체가 없는 시간 예술이기에 감상 환경에 따라 전혀 다른 얼굴을 보여줍니다. 틸트의 소리공간 철학이 담긴 섬세한 음향 시스템 속에서는 한 곡 안에 설계된 공간감, 질감, 진동의 움직임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사운드와 공간간의 상호작용에 관심이 많은 저의 시선으로 틸트를 경험 했을 때 특히나 좋았던 음역대와 질감 중 carl stone의 Shing Kee 1986를 중심으로 리스트를 나열했습니다.

소리의 움직임과 질감을 감각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설계된 긴 호흡의 곡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틸트의 소리공간 철학 안에서 잠시 외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듯한 휴식과 감각이 새로이 확장되는 경험을 함께 나누었으면 좋겠습니다.

 

High notes gracefully float above, while low notes reverberate through the floor, engulfing the entire body in waves of sound that ripple with immense vitality.

 

Music, being an intangible art of time, presents a completely different face depending on the listening environment. Within Tilt's delicate acoustic system, imbued with their sound-space philosophy, I could fully experience the spatiality, texture, and vibratory movement designed into each piece.

 

As someone deeply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sound and space, my experience at Tilt was particularly enhanced by certain frequency ranges and textures. I've compiled a list, focusing on Carl Stone's "Shing Kee 1986," that highlights these aspects.

 

This selection features long, expansive tracks designed to provide ample time to sense the movement and texture of the sound.

 

I hope we can share in this experience, where Tilt's sound-space philosophy offers a momentary respite from the outside world and an expansion of the senses.


Curated & Photos by Guest Listener,
이영은 @26o0yukari

1. Oliver Coates – Looking Toward Hope [2019]
2. the piano foundation - Exercise one (stretch between the fifth and fourth fingers) [2022] 
3. Arturo Ruiz Del Pozo – Estudio para quenas [1978]
4. Arnold Dreyblatt – Personal Philosophies / Container [2023] 
5. Louis and Bebe Barron – Robby Arranges Flowers Zap Monkey [1956] 
6. Michel Redolfi – Overture(Remastered2020) [2021] : 몸을 감싸는 음향 질감이 만들어내는 초현실적 수중 서곡.  
7. Juju & Jordash – Clean-Cut [2014] : 재즈적 감각과 전자적 즉흥성이 교차하는 긴 호흡의 리듬. 
8. Oskar Sala – Intersection [1974] 
9. Éric La Casa, Cédric Peyronnet – Le Bois de Parnac [2008] :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흐르는, 감쇄된 나무의 소리 공간 
10. Musique chienne, World Brain – Malavalle, excommunié [2021] : 어둡고 밀도 높은 잔향 속에서 느껴지는 서정적 실험. 
11. Jos Smolders – Oeil Poché [2018] : Oeil Poché 박물관에서 채집한 15분의 음향적 탐구. 
12. Carl Stone – Shing Kee 1986 [1992] : 분절된 노랫말이 서서히 원형으로 돌아오는 전자음의 파노라마. 
13. Arnold Dreyblatt –Container [2023] 
14. Johann Sebastian Bach, Kuniko – Cello Suite No.1 in G Major, BWV1007:1.Prelude [2017]



*About #Tilt_Radio_Endless 020
매주 수·목·금 저녁 9시, 틸트에서 열리는 청취 프로그램입니다. 익숙한 감정과 누군가의 기억, 느슨하게 흐르는 감각들로 하나의 시간이 천천히 이어집니다. 틸트가 직접, 혹은 게스트 큐레이터와 함께 만들어갑니다.

 

 

2025.09.03 WED 9PM (수요일 오후 9시)

 

Radio Endless:

Imagining Sound Seen and Touched

— 보이는 소리, 만져지는 소리를 상상하며

 

안녕하세요, 출판편집자 김리슨이라고 합니다.

 

음악은 형상이고 소리는 물질이라는 점을 종종 떠올립니다.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힐 듯한 소리의 신비로움에 대해서도요. 그러한 물성은 추상 음악이나 실험 음악뿐 아니라 우리가 일상적으로 듣는 대중음악이나 클럽 음악에서도 느낄 수 있지요. 소리의 모양, 질감, 색깔, 온도 같은 것들 말예요.

 

캐치하고 감각적인 트랙 위주로 플레이리스트를 짜면서 문득 궁금해진 건, 제가 좋아하는 이 곡들이 저마다의 물성을 띤 채 틸트라는 공간 속을 어떻게 날갯짓하며 배회할지였습니다. 물방울처럼 맑고 찰랑이는 소리와, 도깨비같이 웃기고 기이한 소리와, 우주처럼 깊고 오묘한 소리를 두루 느껴볼 수 있길 기대하면서요.

 

소프트웨어가 빚어낸 신스 사운드부터 인간만이 지닌 독특한 목소리까지, 아름다운 음악과 다채로운 소리의 세계를 함께 탐험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Hello, my name is Leeson Kim, and I'm a publishing editor.

 

I often think about music as a form and sound as matter, and the mystery of sound that feels almost visible and tangible. This "materiality" can be felt not only in abstract or experimental music but also in the pop and club music we listen to every day. Things like the shape, texture, color, and temperature of sound.

 

While curating a playlist of catchy and sensuous tracks, I suddenly became curious about how these songs I love, each with its own unique materiality, would flutter and roam within the space of "Tilt." I was hoping to experience a wide range of sounds: clear and shimmering like raindrops, funny and bizarre like goblins, and deep and mysterious like the universe.

 

I hope this will be a time for us to explore the beautiful world of music and diverse sounds together, from synth sounds created by software to the unique human voice.

 

Curated & Photos by Guest Listener,

김리슨 @listen.kim

 

1. Pariah - Seed Bank [2018]

2. Duckett - Never Will I Change [2023]

3. SOPHIE - Unisil [2021]

4. Eprom - Pineapple [2017]

5. Emma DJ - Good Booth [2022]

6. A Made Up Sound - Take the Plunge (First Thought) [2011]

7. KH - Looking at Your Pager [2022]

8. Two Shell - Ghost2 [2023]

9. Peder Mannerfelt - Sissel & Bass (feat. Sissel Wincent) [2018]

10. E SENS - A-G-E [2015]

11. Onhell - Dubstep For Kids [2024]

12. Athing - Nnn [2022]

13. Metrist - Ark Specific [2023]

14. Mike Parker - Radar Signal [2023]

15. Teste - Thieves Are Operating in This Area [2018]

16. Paleman - Animus [2016]

17. Polygonia - Beyond Light And Shade [2024]

18. Duckett - Magic Headlines Foul the Air [2018]

 

 

*About #Tilt_Radio_Endless 019

매주 수·목·금 저녁 9시, 틸트에서 열리는 청취 프로그램입니다. 익숙한 감정과 누군가의 기억, 느슨하게 흐르는 감각들로 하나의 시간이 천천히 이어집니다. 틸트가 직접, 혹은 게스트 큐레이터와 함께 만들어갑니다.

 

2025.08.29 FRI 9PM (금요일 저녁 9시)

 

Radio Endless :

Alternative Odyssey 

- 다른 가능성의 여정

 

Tilt에서의 첫 청음이 무뎌진 말초신경을 깨워준 이후,이 공간을 조금 부지런히 다녔습니다. Tilt가 지닌 실험적 전자음악의 '결'과 조금 다른 방향의 큐레이션해보았습니다.

 

Beastie Boys 부터 Brian Eno의 2025년 최신작까지 준비한 Alternative 세션은 ‘음악의 정체성은 고유하지 않다’라는 사실을 증명 하는거 같습니다.

 

Beck, Vegyn,J Dilla의 끊임없이 진화하는 샘플링과 비트메이킹 Holy Fuck,Boards of Canada의 소음과 텍스쳐, 감각을 부드럽게 이완시켜주는 Dub Tractor, 일본적 해석의 서구 음악을 넘어 하나의 장르가 된 Cornelius등  대중적이면서도 다양한 경계를 넘나드는 음악 여정을 준비했습니다.

 

이번 기회가 아니더라도 틸트가 제공하는 청각적 미식을 사유하여 일상의 좋은 영감을 얻어가길 바라겠습니다. 

 

Curated & Photos by

양승용 aka Audio Love 

 

Radio Endless:
Alternative Odyssey – A Journey of Other Possibilities

 

After my first listening session at Tilt awakened my dulled senses, I began visiting this space more often. For this session, I’ve curated a selection of music that takes a slightly different path from Tilt’s usual thread of experimental electronic sounds.

 

From the Beastie Boys to Brian Eno’s latest 2025 release, this Alternative session seems to demonstrate one simple truth: music’s identity is never fixed.

 

We’ll explore the ever-evolving sampling and beat-making of Beck, Vegyn, and J Dilla; the noise and texture-driven soundscapes of Holy Fuck and Boards of Canada; the soothing layers of Dub Tractor; and Cornelius, who has transformed Western influences into a uniquely Japanese sound that now stands as a genre of its own. This is a journey across borders, genres, and sensibilities—familiar yet endlessly surprising.

 

Even if you miss this particular session, I hope Tilt’s auditory offerings will spark inspiration in your everyday life.

 

Curated & Photographed by

Seungyong Yang aka Audio Love

 

 

1. Beastie Boys - To All The Girls [1989]

2. Ratatat - Shiller [2008]

3. Isolée - Beau mot plage [1999]

4. Max Graef - Jazz 104 [2014]

5. Bochum Welt - La Nuit (Mixed from DJ Tennis DJ-Kicks) [2017]

6. Donovan - Little Boy In Corduroy [1967]

7. Holy Fuck - Lovely Allen [2007]

8. LCD Soundsystem - oh baby [2017]

9. Cornelius - Brazil [2001]

10. Cornelius - Night Heron [2023]

11. Svaneborg Kardyb - Terrassedor [2022]

12. Serge Gainsbourg - L'anamour [1969]

13. Serge Gainsbourg - Valse de Melody [1971]

14. Boards of Canada - Olson [1998]

15. Dub Tractor - Slow Cushion [2000]

16. Oneohtrix Point Never - Again [2023]

17. DARKSIDE - Paper Trails [2013]

18. J Dilla - Geek Down [2006]

19. Onra - Like The Seasons  [2015]

20. Beck - Hollywood Freaks [1999]

21. Vegyn - It's Nice to Be Alive [2019]

22. Jimmy Edgar - One Twenty Detail [2010]

23. Brian Eno & Beatie Wolfe - Suddenly  [2025]

 



*About #Tilt_Radio_Endless 016 :
매주 수·목 저녁 9시, 틸트에서 열리는 청취 프로그램입니다. 익숙한 감정과 누군가의 기억, 느슨하게 흐르는 감각들로 하나의 시간이 천천히 이어집니다. 틸트가 직접, 혹은 게스트 큐레이터와 함께 만들어갑니다.

2025.08.24 SUN 9PM (오늘 저녁9시)

 

Drift Mode : Raster-Noton

“Sound and Non-Sound”

— 사운드를 사유하는 실험실

 

라스터 노튼(Raster-Noton)은 1999년, 동독 켐니츠(Chemnitz)에서 성장한 세 아티스트, 카르스텐 니콜라이(Alva Noto), 올라프 벤더(Byetone), 프랭크 브렛슈나이더(Frank Bretschneider)가 각자 운영하던 Rastermusic과 Noton을 병합하며 출범했습니다. 이들은 전자음악을 장르적으로 접근 하기보다 사운드를 탐구하는 하나의 플랫폼으로 바라보았고, 지난 20여 년간 150여 개의 발매작을 통해 예술, 과학, 디자인이 교차하는 영역을 개척했습니다.

 

라스터 노튼의 작업은 종종 ‘글리치’나 ‘미니멀 테크노’로 불리지만, 본질은 음악적 규범을 해체하고 사운드 자체를 사유하는 태도에 있습니다. “Ton und Nichtton(사운드와 비-사운드)”라는 개념처럼, 음반뿐 아니라 포스터, 오브제, 설치, 공연으로 확장되며, 소리를 둘러싼 세계를 하나의 실험실로 재구성해왔습니다.

 

사운드는 컴퓨터의 오류 신호, 원시 데이터, 복제와 재처리의 과정을 통해 청각적 조각으로 변모합니다. Nicolai, Ikeda, Byetone, Bretschneider의 프로젝트는 각각 데이터, 대칭 구조, 리듬의 파편을 활용하여 소리를 개념적 매체로 확장했습니다. 투명한 패키징과 정밀한 디자인, 실시간 비주얼 시스템은 이들의 환원주의적 미학을 시각적으로까지 이어갔습니다.

 

2017년 Raster와 Noton으로 분리되었지만, Raster-Noton은 여전히 전자음악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실험적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그들의 작업은 “음악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가 아니라, “사운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예술과 과학, 데이터와 감각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운드 실험으로 기능해왔습니다.

 

8월 24일 틸트는 Raster-Noton의 아카이브로 다시 채워집니다. 높은 해상력과 입체적인 음장 속에서 펼쳐질 이들의 정교한 소리 입자는, 그들이 가장 선호했던 가이타인(Me-Geithain) 스피커를 통해 구현되며, 라스터 노튼 아티스트들의 관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드문 청취 경험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1. Alva Noto & Ryuichi Sakamoto - Berlin [2005]
  2. Frank Bretschneider - orion, spin, novo duplex, blue: electric [2010]
  3. Ryoji Ikeda - data.syntax [2005]
  4. Byetone - Rocky (Soft) [2008]
  5. Alva Noto - U_03 [2008]
  6. Atom™ - Empty [2013]
  7. Kangding Ray - Sub.Res [2006]
  8. Mark Fell - Multistability 12 [2011]
  9. Jesse Osborne-Lanthier - The Zika Slam [2016]
  10. Aoki Takamasa - RN4-09 [2004]
  11. Emptyset - Core [2013]
  12. Diamond Version - Live Young [2013]
  13. Senking - Murders [2013]
  14. Franck Vigroux - Paris NYC [2022]
  15. Dasha Rush - Lucy in the Sky, Lost Diamonds [2015]
  16. Grischa Lichtenberger - 1011_27_#5b [2012]
  17. Milian Mori - MO-RI-AN [2024]
  18. Lena Andersson - I want her (you) to call me baby [2019]
  19. Robert Lippok - Whitesuperstructure [2011]
  20. ANBB (Alva Noto & Blixa Bargeld) - Berghain [2010]
  21. Mika Vainio - Berns [2010]

Raster-Noton was launched in 1999 through the merger of Rastermusic and Noton, labels originally run by three artists who grew up in Chemnitz, East Germany: Carsten Nicolai (Alva Noto), Olaf Bender (Byetone), and Frank Bretschneider. Rather than approaching electronic music by genre, they viewed it as a platform for exploring sound itself.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y have released over 150 works, pioneering a field that intersects art, science, and design.

 

While Raster-Noton's work is often categorized as 'glitch' or 'minimal techno,' its essence lies in an attitude of deconstructing musical norms to contemplate sound itself. This is embodied in their concept of "Ton und Nichtton" (sound and non-sound), which extended beyond records to posters, objects,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reconfiguring the world surrounding sound into a laboratory.

 

Sound is transformed into auditory sculpture through processes involving computer error signals, raw data, and cycles of replication and reprocessing. The projects of artists like Nicolai, Ryoji Ikeda, Byetone, and Bretschneider expanded sound into a conceptual medium by utilizing data, symmetrical structures, and rhythmic fragments. Their reductionist aesthetic was further extended visually through transparent packaging, precision design, and real-time visual systems.

 

Although the label split back into Raster and Noton in 2017, Raster-Noton remain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experimental platforms in the history of electronic music. Its work posed the question not of "how to make music," but of "how to perceive sound," functioning as a sonic experiment that traversed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science, data and sensation.

 

Tonight, Tilt is filled with the Raster-Noton archive. Presented in high resolution and an immersive sound field, the artists' meticulously crafted sound particles will be realized through their preferred ME-Geithain speakers, offering a rare listening experience monitor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aster-Noton artists themselves.


Fis – The Commons [2012]
— 장르의 틀을 해체한 원초적 리듬의 기록

뉴질랜드 출신 프로듀서 올리버 페리 포먼(Oliver Peryman), 피스(Fis)는 동시대 전자음악에서 가장 예측 불가능한 음악가중 한 사람입니다.

그의 사운드는 드럼 앤 베이스, 테크노, 앰비언트의 틀에 안착하지 않고, 오히려 그 경계를 해체하며 새로운의 감각 영역을 탐색합니다. 원래 드러머였던 그는 음악 소프트웨어의 ‘격자(grid)’를 의도적으로 거부하고, 뉴질랜드 사운드 시스템 문화와 야외 레이브에서 체득한 저주파의 직관적 이해를 바탕으로 유기적인 리듬 구조를 구축합니다.

dBridgeExit Records를 통해 발매된 EP ‘The Commons’는 이러한 접근이 가장 응축된 형태로 드러난 작업입니다. 사운드는 안개 낀 벙커처럼 폐쇄적이면서도 지진과 같은 저역의 압력으로 청취 형식을 집어삼킵니다.

그는 자연의 소리를 직접 차용하지 않지만, 정교한 사운드 디자인을 통해 자연이 가진 거대한 스케일과 본질을 재구성합니다. 그 결과물은 전체를 파악하기 어렵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거대한 시스템처럼 다가오며, 청취자의 감각을 끊임없이 교란합니다.

‘The Commons’ EP는 분석보다 체험에 가까운 음악입니다. 기술을 통해 원초적인 힘을 호출하며, 청취자를 해석 이전의 직관적 감응 상태로 이끌어갑니다. 그의 작업은 특정 장르나 전통에 머물지 않고, 매번 새로운 지형을 탐색하는 과정 속에서 스스로의 작업을 갱신해 나갑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이번 ‘피스(Fis)’의 ‘The Commons’는 이 흐름 속에서 특히 ’서브라임(Sublime)‘의 차원을 보여줍니다. 깊은 저역의 압력과 폐쇄적 공간감이 만들어내는 체험은 일반적인 청취를 넘어, 신체 전체로 맞닥뜨리는 사건에 가깝습니다. Tilt는 이를 통해, 청취를 감각의 표면을 넘어선 경험으로 확장하고자 합니다.

#Of_the_Sublime



Fis – The Commons
발매일: 2012년 6월 6일
총 6곡, 29분

1. Club Track
2. Steeper
3. We Cross Tracks
4. Wise Man
5. The Commons
6. Patupaiarehe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Fis – The Commons
— A Record of Primordial Rhythm that Deconstructs Genre

 

New Zealand-born producer Oliver Peryman, known as Fis, is one of the most unpredictable artists in contemporary electronic music.

 

His sound doesn't settle into the frameworks of drum & bass, techno, or ambient; instead, it deconstructs their boundaries to explore new sensory territories. A former drummer, he intentionally rejects the rigid ‘grid’ of music software. He builds organic rhythmic structures grounded in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low frequencies, an understanding honed through his experiences with New Zealand's sound system culture and outdoor raves.

 

Released on dBridge’s Exit Records, the EP The Commons is perhaps the most concentrated expression of this approach. Its sound is as claustrophobic as a fog-filled bunker, yet it completely engulfs the listening experience with a seismic pressure of low-end frequencies.

 

While he doesn’t directly sample sounds from nature, Fis uses sophisticated sound design to reconstruct its immense scale and essence. The result is a sound that feels like a colossal, ever-present system—one that is difficult to fully comprehend but undeniably there, constantly disrupting the listener's senses.

 

The Commons is music meant to be experienced rather than analyzed. It uses technology to summon a primordial force, guiding the listener into a state of intuitive reaction that precedes interpretation. Fis's work never settles within a specific genre or tradition; instead, he continuously renews his craft by exploring new sonic terrains with each project.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Within this framework, Fis’s The Commons especially embodies the dimension of the "Sublime." The experience created by the deep low-end pressure and claustrophobic atmosphere is less a conventional listening session and more an event that one confronts with the entire body. Through this, Tilt aims to expand listening into an experience that moves beyond the surface of sensation.

 

#Of_the_Sublime

 

Fis – The Commons
Release Date: June 6, 2012
6 Tracks, 29 minutes

  1. Club Track
  2. Steeper
  3. We Cross Tracks
  4. Wise Man
  5. The Commons
  6. Patupaiarehe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featured are played sequentially as part of the Phonic Cycle—our in-house sound curation program for Tilt's August theme. The listening schedul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nd each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with every visit.

 


2025.08.21 THU 8PM (목요일 저녁 8시)

Radio Endless : 
The Way Back Home
집으로 돌아가는 길
— 휘몰아치던 모든 감정이 다시 중심으로

이 소리는 유년기 10년 제 내면을 형성해 온 시기의 기록입니다. 

가장 투박하고 격한 감정을 많이 느꼈던 시기에, 그 감정들을 어떻게 정제하고 승화해야 하는지를 배웠던 순간들로 기억합니다.

파괴적이고 충동적인 언어가 정교하게 다듬어지고 비트위에서 질서를 갖출때, 온갖 혼란과 부정적인 것들이 승화되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떠올려 보면 그 경험들이 저의 유년시절을 강력하게 지배했었고, 이 곡들은 저에게 지금은 떠나온 고향, 어린시절 살던 집과 같이 가장 소중한 기억들이 담겨있는 존재라 할수 있습니다.

그 시절 가장 아름다웠던, 가장 슬펐던 모든 순간, 그때 모든 감정을 다 압축해서 설명해 보자면 이런 모습일거 같네요.

Curated & Photos by Guest Listner,
문정국 @junggookmoon 

1. 2Pac – Only God Can Judge Me [1996]
2. 2Pac – Can‘t C Me [1996]
3. Wu Tang Clan – Bring da Ruckus [1993]
4. Company Flow – Patriotism [1999]
5. Mobb Deep ft. Big Noyd – Party Over [1995]
6. Artifacts – Cummin’ Thru Ya F-kin‘ Block [1994]
7. Method Man & Redman – How High (Remix) [1995]
8. Typical Cats – Qweloquiallisms [2001]
9. Arsonists – Backdraft [1999]
10. Pete Rock, Deda – Everyman [2003]
11. Pete Rock, Deda – Rhyme Writer [2003]
12. Macy Gray – I Try [1999]
13. Maspyke – Far East Politics [2000]
14. People Under the Stairs – San Francisco Knights [1998]
15. A Tribe Called Quest – We Can Get Down [1993]
16. A Tribe Called Quest – God Lives Through []1993
17. Five Deez – Omni (cuts. Fat Jon) [2001]
18. Five Deez – Latitude (cuts. Pase LaRock) [2001]
19. Micranots – Pitch Black Ark [2000]
20. Micranots – Preparations [2000]
21. Mint Condition – Devotion [1993]
22. Mint Condition – So Fine [1993]
23. Cannibal Ox – Iron Galaxy [2001]
24. Cannibal Ox – Ox Out The Cage [2001]
25. Cannibal Ox – A B-Boy Alpha [2001]
26. A Tribe Called Quest ft. Trugoy The Dove – Award Tour [2003]
27. Sade – Is It A Crime (Lovers Live) [2002]
28. D’Angelo – Africa [2000]
29. Tems – Love Me JeJe [2024]

*About #Tilt_Radio_Endless 014 :
매주 수·목 저녁 9시, 틸트에서 열리는 청취 프로그램입니다. 익숙한 감정과 누군가의 기억, 느슨하게 흐르는 감각들로 하나의 시간이 천천히 이어집니다. 틸트가 직접, 혹은 게스트 큐레이터와 함께 만들어갑니다.

 

Radio Endless : 
The Way Back Home

— All the swirling emotions return to the center.

 

This sound is a record of a decade of my youth, a time that shaped my inner self.

 

I remember it as a period when I felt the most raw and intense emotions, and a time when I learned how to refine and sublimate them.

 

I felt a sense of sublimation, as if all the chaos and negativity were being purified, when destructive and impulsive language was intricately refined and found order on top of a beat.

 

Looking back, those experiences powerfully dominated my childhood, and these songs are like my hometown that I've since left, or the house I grew up in – a vessel for my most precious memories.

 

If I were to try and capture all the most beautiful and sorrowful moments of that time, to compress all the emotions of that period, it would sound like this.

 

Curated & Photos by Guest Listner,
Junggook Moon

 

*About #Tilt_Radio_Endless 014 :
This is a listening program held at Tilt every Wednesday and Thursday at 9 PM. A single hour unfolds slowly with familiar emotions, someone's memories, and loosely flowing senses. It is curated directly by Tilt or together with a guest curator.

Gagarin Kombinaatti – 83–85 [2016]
— 미카 바이니오의 기원을 드러낸,
 핀란드 언더그라운드의 발굴 기록

핀란드 전자음악의 선구자 ‘미카 바이니오(Mika Vainio)’가 20세 무렵 활동했던 프로젝트 ‘가가린 콤비나앗띠 (Gagarin Kombinaatti)’의 기록이 30여 년 만에 세상에 공개되었습니다.

1980년대 초, 투르쿠의 지하실에서 그는 버려진 고철, 드릴, 해머, 라디오 노이즈를 도구 삼아, 스로빙 그리슬(Throbbing Gristle)과 초기 아인슈튀어첸데 노이바우텐(Einstürzende Neubauten)을 연상시키는 원시적이고 거친 사운드를 빚어냈습니다.

카세트에 담긴 로파이 질감 속, 날카로운 노이즈, 차가운 드럼 패턴, 바람 부는 듯한 앰비언스는 훗날 판소닉(Pan Sonic)과 솔로 작업으로 이어질 바이니오 음악의 원형을 이미 품고 있습니다. 장비의 성능이 아닌, 소리의 물리적 특성과 다루는 태도에 주목한 그의 관점이 이 시기부터 명확히 드러납니다.

단 한 번의 공연으로 끝난 프로젝트였지만, ‘83–85’는 바이니오 예술의 심층을 보여주는 음향적 단층입니다. 공격성과 잔인함 속에 숨겨진 정교한 아이디어는, 감정의 부재조차 강력한 정서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합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소개되는 Gagarin Kombinaatti의 83–85 앨범은 1980년대 초 핀란드 투르쿠의 지하에서 탄생한, 미카 바이니오의 음악적 기원을 담은 기록입니다.

버려진 금속과 조악한 장비에서 추출한 노이즈와 리듬은, 정교함을 거부한 채 원초적인 에너지와 폭발 직전의 긴장을 드러냅니다.

청취자는 이 사운드 속에서 감각의 한계와 맞닿는 압도, 즉 서브라임의 순간을 경험하게 됩니다. Tilt는 이 경험이 질서 이전의 혼돈 속에서 피어나는 창조의 가능성을 마주하게 하기를 바랍니다.

#Of_the_Sublime



Gagarin Kombinaatti – 83–85
발매일: 2016년 12월 29일
총 12트랙 / 55분

1. Survos – 압축 / 짓누름
2. Vartioparaati – 경비 행진
3. Toisto – 반복
4. Tiedonantaja kirjoittaa – 정보 제공자가 쓴다 / 통신원이 쓴다
5. Ukaasi – 칙령 / 엄명
6. Reikäkorttia – 펀치 카드(천공 카드)
7. Massa – 질량 / 덩어리
8. Protonisuihku – 양성자 빔
9. Alkuperä – 기원 / 원천
10. Polvella – 무릎 위에서
11. Osat – 부품 / 부분
12. Raskas / Chemical Weapons – 무거움 / 화학 무기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Gagarin Kombinaatti – 83–85
— Revealing the origins of Mika Vainio,
 an excavated record from the Finnish underground.

 

The recordings of Gagarin Kombinaatti, a project by the pioneer of Finnish electronic music, Mika Vainio, from when he was around 20 years old, have been released to the world after more than 30 years.

 

In the early 1980s, in a basement in Turku, he used discarded scrap metal, drills, hammers, and radio noise as his tools to craft a primitive and coarse sound reminiscent of Throbbing Gristle and early Einstürzende Neubauten.

 

Within the lo-fi texture of the cassettes, the sharp noise, cold drum patterns, and windy ambiance already contain the blueprint for Vainio's music that would later evolve into Pan Sonic and his solo work. His perspective, focused not on the performance of the equipment bu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und and the attitude in handling it, is clearly evident from this period.

 

Although it was a project that ended after a single performance, "83–85" is an acoustic fault line that reveals the depths of Vainio's art. The sophisticated ideas hidden within its aggression and brutality prove that even the absence of emotion can become a powerful sentiment.


A Listening Suggestion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The featured album, Gagarin Kombinaatti's 83–85, is a record of Mika Vainio's musical origins, born in the underground scene of Turku, Finland in the early 1980s.

 

The noise and rhythms, extracted from discarded metal and crude equipment, reject refinement and instead reveal a raw energy and a tension on the verge of explosion.

 

Within this sound, the listener experiences a moment of the sublime—an overwhelming sensation that borders on the limits of perception. Tilt hopes this experience allows you to confront the potential for creation that blossoms from the chaos that precedes order.

 

#Of_the_Sublime


Gagarin Kombinaatti – 83–85
Release Date: December 29, 2016
12 Tracks / 55 minutes

  1. Survos – Compression / Crushing
  2. Vartioparaati – Guard's Parade
  3. Toisto – Repetition
  4. Tiedonantaja kirjoittaa – The Informant Writes / The Correspondent Writes
  5. Ukaasi – Ukase / Edict
  6. Reikäkorttia – Punch Card
  7. Massa – Mass
  8. Protonisuihku – Proton Beam
  9. Alkuperä – Origin / Source
  10. Polvella – On the Knee
  11. Osat – Parts / Components
  12. Raskas / Chemical Weapons – Heavy / Chemical Weapons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as part of the Phonic Cycle, our in-space sound curation program during Tilt's August theme. The listening schedul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every day.

 

 

Eric Holm – Andøya [2014]
— 북극 전신주가 기록한 전기적 비가

런던 기반의 미국 사운드 아티스트 ‘에릭 홈(Eric Holm)’은 전통적 악기 대신, 사물과 환경이 만들어내는 물리적 진동과 공명에 집중합니다.

그의 데뷔작 ‘안-되-야(Andøya)’는 북극권 노르웨이 외딴 섬 ‘안-되-야(Andøya)’의 단 하나뿐인 전신주에서 채집한 소리로 완성되었습니다. 군사 통신 기지를 연결하는 고전압 전선에 컨택트 마이크를 부착해, 혹독한 바람과 전력선이 만들어내는 미세한 떨림과 전기적 노이즈를 포착한 것입니다.

여기서 전신주는 설원과 바람, 인간이 만든 거대한 네트워크가 만나는 교차점이자, 그 모든 것을 증언하는 ‘목격자’로 작동하게 됩니다. 이 앨범은 전력선의 저주파 윙윙거림, 날카로운 고주파, 정전기와 마찰음이 만들어내는 사운드스케이프는 청취자를 고립과 압도적인 자연의 힘 속으로 밀어 넣습니다.

Tilt는 이 앨범이 소리를 통해 장소의 본질과 보이지 않는 서사를 드러내는, 차갑고도 숭고한 청취 경험이 되기를 바랍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에릭 홈(Eric Holm)‘의 ‘안-되-야(Andøya)’는 그중 ‘서브라임’의 압도적 환경과 감각의 한계를 마주하는 청취에서 재조명됩니다.

이 앨범은 북극권의 외딴 섬의 전신주에서 채집한 미세한 진동과 전류의 공명을 바탕으로, 자연과 기술이 만들어내는 거대한 긴장 구조를 드러냅니다.

청취자는 차가운 저주파와 날카로운 고주파가 교차하는 순간, 그 너머에서 다가오는 고립과 경외를 마주하게 됩니다.

Tilt는 이 소리의 구조가, 감각의 압도 속에 서 있는 존재의 상태를 사유하게 만들기를 바랍니다.

#Of_the_Sublime



Eric Holm – Andøya
발매일: 2014년 4월 14일
총 6곡, 40분

1. Ma°tinden
2. Stave
3. A°se
4. Kvastinden
5. Høyvika
6. Andøya

트랙 이름 의미 요약 (노르웨이어 및 지형 기반)

* Andøya
노르웨이 북단 Vesterålen 군도에 위치한 ‘안-되-야’ 섬. ‘Øya’는 ‘섬(island)’을 의미하며, Andøya는 문자 그대로 ‘…의 섬’, 그곳의 장소성과 정체성을 담고 있습니다.

* Kvastinden
섬 내 최고봉인 Kvasstinden (705 m)를 지칭하는 지명으로, 음악의 고지대 같은 긴장을 투영합니다.

* Måtinden / Høyvika / Stave
Måtinden은 Andøya 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하이킹 코스 중 하나로, 해안과 해변(Høyvika)을 내려다보는 유명 지점입니다. Stave는 이 하이킹이 시작되는 마을 이름입니다.

* A°se
Andøya 인근 또는 비슷한 지형에서 사용하는 노르웨이 여성 인명 또는 지명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맥락상 ‘A˚se’는 지역과 연관된 명명으로 해석됩니다.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Eric Holm – Andøya

London-based American sound artist Eric Holm focuses on the physical vibrations and resonances created by objects and environments, rather than traditional instruments.

 

His debut album, Andøya, was created from sounds collected from a single telegraph pole on the remote Norwegian island of Andøya, located in the Arctic Circle. By attaching contact microphones to the high-voltage wires connecting a military communications base, he captured the subtle vibrations and electrical noise generated by the harsh winds and the power lines themselves.

 

Here, the telegraph pole acts as an intersection where the snowfields, the wind, and a vast human-made network meet—a "witness" testifying to all of it. The album's soundscape, crafted from the low-frequency hum of power lines, sharp high-frequencies, static, and friction, pushes the listener into a state of isolation amidst the overwhelming force of nature.

 

Tilt hopes this album becomes a cold, sublime listening experience that reveals the essence of a place and its unseen narratives through sound.


Tilt's Listening Proposal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es"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Eric Holm's Andøya is re-examined through the lens of the "Sublime"—a listening experience that confronts the overwhelming environment and the limits of sensation.

 

Based on the subtle vibrations and electrical resonances captured from a telegraph pole on a remote Arctic island, this album exposes the immense tension created by the interplay of nature and technology.

 

As cold low-frequencies and sharp high-frequencies intersect, the listener is confronted with a sense of isolation and awe that looms beyond the sound.

 

Tilt hopes the structure of this sound invites contemplation on the state of being as one stands amidst sensory inundation.

 

#Of_the_Sublime


Eric Holm – Andøya
Release Date: April 14, 2014
6 Tracks, 40 minutes

  1. Måtinden
  2. Stave
  3. Åse
  4. Kvastinden
  5. Høyvika
  6. Andøya

Summary of Track Names (Based on Norwegian and Topography)

  • Andøya
    The island of Andøya is located in the Vesterålen archipelago in northern Norway. "Øya" means "the island," and Andøya literally translates to "island of And," embodying the place and its identity.
  • Kvastinden
    This refers to Kvasstinden (705 m), the highest peak on the island, projecting a tension that mirrors the album's musical heights.
  • Måtinden / Høyvika / Stave
    Måtinden is a peak on a hiking trail on Andøya, offering famous views overlooking the coast and Høyvika beach. Stave is the village where this hike begins.
  • Åse
    Likely a Norwegian female name or a place name used in or near Andøya. In this context, "Åse" is interpreted as a name associated with the region.
 
 

 

Emptyset – Collapsed [2012]
— 질서의 붕괴와 압도의 순간

영국 브리스톨의 듀오 엠티셋(Emptyset)은 소리의 물질성과 그것이 공간과 맺는 관계를 탐구하며, 청취를 감각의 한계까지 밀어붙입니다. 제임스 긴즈버그(James Ginzburg) 폴 퍼거스(Paul Purgas)는 사인파, 백색 소음, 왜곡과 같은 최소 단위의 음향을 출발점으로 삼아, 그것이 특정 환경 속에서 변형·붕괴되는 과정을 기록합니다.

버려진 맨션이나 폐쇄된 발전소 같은 물리적 공간은, 그 자체로 소리를 변형시키고 의미를 갱신하는 능동적 주체로 작동합니다. 그 공간이 되돌려주는 응답은 불규칙하며, 예측 불가능한 질서와 혼돈의 경계에서 청각적 압도를 만들어냅니다.

‘라스터-노톤(Raster-Noton)’에서 발매된 EP ‘Collapsed’는 이러한 실험을 갤러리와 클럽의 문맥 속에 옮겨온 결정적 사례입니다. 불안정한 리듬 구조와 붕괴 직전의 음향 골격은 청취자를 무질서 앞에 세우고, 그 압도의 순간 속에서 존재의 축소와 경외를 동시에 경험하게 합니다.

Tilt는 이 앨범을 ‘서브라임(Sublime)’ 감각의 압도, 질서의 붕괴, 무한에 대한 감각의 장에서 제안합니다. 이는 불편함이 아니라, 감각이 재구성되는 극한의 청취입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Emptyset의 Collapsed [2012]는 ‘서브라임’ 압도와 붕괴, 질서와 혼돈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재조명됩니다.

이 작업은 사인파, 노이즈, 왜곡 같은 음향의 최소 단위가 공간과 구조 속에서 변형되며, 예측 불가능한 긴장과 위태로움을 만들어냅니다.

청취자는 안정된 리듬이나 완결된 구조 대신, 무너질 듯 유지되는 소리의 골격 속에서 감각의 극한에 서게 됩니다. Tilt는 이 경험이 불편함을 넘어, 질서가 해체되는 순간의 숭고함을 사유하게 하기를 바랍니다.

#Of_the_Sublime



Emptyset - Collapsed (EP)
발매일: 2012년 10월 8일
총 4곡, 14분

1. Armature
2. Core
3. Collapse
4. Wire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Emptyset – Collapsed [2012]

 

The Bristol-based duo Emptyset explores the materiality of sound and its relationship with space, pushing the act of listening to the limits of sensation. James Ginzburg and Paul Purgas start with minimal sonic units such as sine waves, white noise, and distortion, and record their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decay within specific environments.

 

Physical spaces, like abandoned mansions or decommissioned power plants, become active agents that transform sound and renew its meaning. The responses these spaces return are irregular, creating a sense of auditory inundation at the boundary of unpredictable order and chaos.

 

The EP Collapsed, released on Raster-Noton, is a crucial example of this experimentation brought into the context of galleries and clubs. Its unstable rhythmic structures and sonic framework, perpetually on the verge of collapse, confront the listener with disorder. Within this overwhelming moment, one simultaneously experiences a sense of existential reduction and awe.

 

Tilt proposes this album as an experience of the "Sublime"—a sensory overwhelming, a collapse of order, and a brush with the infinite. This is not about discomfort, but rather an extreme form of listening where the senses are reconfigured.


Tilt's Listening Proposal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es"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Emptyset's Collapsed is re-examined at the intersection of "Sublime" overwhelming and collapse, where order and chaos meet.

 

This work transforms minimal sonic units like sine waves, noise, and distortion within space and structure, creating unpredictable tension and precarity.

 

Instead of stable rhythms or complete structures, the listener stands at the limit of their senses within a sonic framework that is constantly threatening to fall apart. Tilt hopes this experience moves beyond discomfort, allowing for a contemplation of the sublime moment when order dissolves.

 

#Of_the_Sublime


Emptyset - Collapsed (EP)
Release Date: October 8, 2012
4 Tracks, 14 minutes

  1. Armature
  2. Core
  3. Collapse
  4. Wire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as part of the Phonic Cycle, a sound curation program within the space, during Tilt's August theme. The listening experienc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nd at different times,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daily.

 
 

 
2025.08.20 WED (수요일 저녁 9시)

Radio Endless : 
— Music That Quietly Lingers
조용히 남아 있는 음악들

안녕하세요, 틸트의 Radio Endless에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디제이 Cy Nico입니다.

평소 클럽에서는 틀지 않지만, 사실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음악들을 준비했습니다. 혼자만의 시간에 습관적으로 반복해서 들었던 음악들이 담겨있는 플레이리스트일 뿐이지만 개인적으론, 마치 틸트에 소개되는 특별한 순간을 위해 기다려온 것처럼 느껴집니다.

음악을 들으며 저는 그때그때 떠오르는 감정이나 생각들을 그냥 지나가게 두는 편입니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나 음악을 고르다 보면, 그 안에서 느꼈던 여운과 마음의 흔적이 자연스럽게 남아 이 플레이리스트에도 살짝 스며든 것 같아요.

오랜시간 일상 속에서 꺼내 들으며 곱씹었던 음악들을 함께 나눌 수 있어 정말 기쁩니다. 틸트의 청취자 여러분들이 그 안에서 잠시 머물며, 각자의 이야기를 발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Curated & Photos by Guest Listner,
Cy Nico 

1. Vincent Gallo - My Beautiful White Dog [2001]
2. Sten Bergman - Sorti [1974]
3. Tonbruket - Baloons [2011]
4. Harvey Mandel - Wade in the Water [1968]
5. L’Eclair - Still Steeve [2019]
6. Gabor Szabo - Spellbinder [1966]
7. Ashra - 77 Slightly Delayed [1978]
8. Kosmischer Läufer - Flucht aus dem Tal der Ahnungslosen [2014]
9. Rättö & Lehtisalo - Valonnopeus [2003]
10. Agitation Free - Laila Pt. 2 [1974]
11. Bertrand Burgalat - Kim [2000]
12. Steve Hillage - Pentagrammaspin [1975]
13. Curtis Knight & The Squires - Hush Now (feat. Jimi Hendrix) [1965]
14. Booker T. & The M.G.'s - Sunday Sermon [1970]

*About #Tilt_Radio_Endless 013 :
매주 수·목 저녁 9시, 틸트에서 열리는 청취 프로그램입니다. 익숙한 감정과 누군가의 기억, 느슨하게 흐르는 감각들로 하나의 시간이 천천히 이어집니다. 틸트가 직접, 혹은 게스트 큐레이터와 함께 만들어갑니다.
 
Radio Endless : 
 Music That Quietly Lingers
 
Hello, thank you for having me on Tilt's Radio Endless. I'm DJ Cy Nico.
 
I've prepared some music that I wouldn't normally play at a club, but is actually my favorite. This is just a playlist of songs I've habitually listened to on repeat in my own time, but personally, it feels as though they've been waiting for this special moment to be introduced on Tilt.
 
When I listen to music, I tend to let the emotions and thoughts that come to mind simply pass by. However, as time goes on and I select music, the lingering feelings and traces of my heart naturally remain and seem to have subtly seeped into this playlist.
 
I'm truly happy to be able to share the music that I've taken out and savored in my daily life for a long time. I hope that the listeners of Tilt will be able to linger in it for a moment and discover their own stories.
 
Curated & Photos by Guest Listener,
Cy Nico
 
*About #Tilt_Radio_Endless 013 :
This is a listening program held at Tilt every Wednesday and Thursday at 9 PM. A single hour unfolds slowly with familiar emotions, someone's memories, and loosely flowing senses. It is curated directly by Tilt or together with a guest curator.

 
 

 

2025.08.14 THU (목요일 저녁 9시)

 

Radio Endless : Echoes from the Left Bank

—  폐허 위에 울려온 1940–50년대 파리의 목소리

 

“내가 들려줄 수도 있었던 이야기, 내 삶을 닮은 그 이야기의 기억이 희미하고 차갑게 떠올랐다. 끝낼 용기도, 계속할 힘도 없이 흐르던 이야기.”

— 사무엘 베케트, ‘끝(The End)’ (1946)

 

전쟁이 끝난 뒤에도 도시에는 쉽게 말로 옮겨지지 않는 감정들이 남아 있었습니다. 어긋난 삶의 리듬과 감각은 흐려졌고 일상은 다시 조율되어야 했습니다. 그럼에도 파리 좌안의 누군가들은 그 폐허 위에서 글을 쓰고, 노래하고, 연주하며 존재의 더 깊은 결을 다시 건드리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큐레이션은 아네스 푸아리에의 ‘사랑, 예술, 정치의 실험 – 파리좌안 1940–50’에서 출발합니다.이 책은 하나의 시대를 사건 중심으로 설명하기보다,그 시간을 통과한 이들의 감각, 불확실한 기억과 침묵, 냉소와 도취, 그리고 스쳐 지나가는 감정의 잔상을 따라 시대를 바라봅니다.

 

지금 우리는 감정을 제대로 감각하지도, 말로 옮기지도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복잡하지만 공허한 시대일수록, 오히려 단순한 감정과 그 결을 더듬는 일이 절실해집니다. 그럴 때 떠오른 것은, 폐허 위에서도 감각을 포기하지 않았던 이들의 소리였습니다.

 

이번 Radio Endless는 바로 그 정서적 반향을 따라갑니다. 이 음악들은 질문과 질문 사이에서 흘러나온 사유의 흔적들입니다. 샹송과 쿨 재즈, 파편처럼 흩어진 감정의 목소리들 속에는 그들이 남긴 삶의 방식이 고스란히 배어 있습니다.

 

이 작은 흐름은, 한 시대의 음들이 남긴 잔향을 따라

감각의 구조를 다시 열어보려는 시도입니다. 말보다 먼저 반응했던 감정들이 Tilt에서 다시 울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1. Lucienne Delyle – Mon amant de Saint Jean [1947]

2. Django Reinhardt – Nuages [1940]

3. Francis Poulenc / Pascal Rogé – Improvisations 15–16: No. Improvisation [1958]

4. Édith Piaf – Les amants d’un jour [1956]

5. Boris Vian – Je bois [1956]

6. Miles Davis – Deception [1949]

7. Juliette Gréco – Si tu t’imagines [1949]

8. Thelonious Monk – ’Round Midnight [1947]

9. Charles Trenet – La mer [1946]

10. Léo Ferré – Paris canaille [1953]

11. Barney Wilen – Swing 39 [1958]

12. Léo Ferré – L’Île Saint Louis [1960]

13. Jacques Brel – Quand on n’a que l’amour [1957]

14. Juliette Gréco – Sous le ciel de Paris [1962]

15. Boris Vian – Le déserteur [1954]

16. Chet Baker – But Not For Me [1954]

17. Serge Gainsbourg – Le poinçonneur des Lilas [1958]

18. Georges Brassens – Chanson Pour L’auvergnat [1954]

 

“The memory came faint and cold of the story I might have told, a story in the likeness of my life, I mean without the courage to end or the strength to go on."

Samuel Beckett, The End (1946) 

 

Even after the war ended, a feeling lingered in the city that words couldn't easily capture. The rhythm of life had been disrupted, senses dulled, and daily existence needed to be recalibrated. And yet, on the Left Bank of Paris, some began to touch the deeper textures of existence once more, writing, singing, and playing music amidst the ruins.

 

This curation begins with Agnès Poirier's Left Bank: Art, Passion, and the Rebirth of Paris, 1940-50. Rather than explaining an era through a timeline of events, this book views the period through the senses of those who lived it—their uncertain memories, silences, cynicism, and euphoria, and the afterimages of fleeting emotions.

 

It occurred to me that we, too, are living in a time where we often fail to truly sense or articulate our emotions. In an age so complex yet empty, it becomes all the more essential to trace the contours of simple feelings. That’s when I thought of the sounds made by those who refused to abandon their senses, even in the midst of ruin.

 

This edition of Radio Endless follows that very emotional resonance. The music represents the traces of thought that flowed between one question and the next. In the chansons, cool jazz, and fragmented voices of emotion, the way of life they left behind is deeply embedded.

 

This small collection is an attempt to reopen the structure of our senses by following the reverberations left by the sounds of an era. We hope the emotions that reacted before words could form will resonate once again at Tilt.

 

 
 
‘틸트(@tiltxfnst)’와 ‘씨 없는 수박 김대중(@blues_president)’이 함께하는 ‘로버트 존슨(Robert Johnson)’
서거 87주년 기념 음악회 : 
 
8월 16일 (토) 저녁 8시 /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 1길 10
 

 
If I Had Blues over Judgement Day
— 로버트 존슨의 마지막 날, 델타의 종언
 
‘로버트 존슨(Robert Johnson)’의 ‘If I Had Possession Over Judgment Day’는 종말과 사랑, 신의 심판과 사적인 욕망을 한 무대에 올려놓는 곡입니다.
 
“만약 내가 심판의 날을 지배할 수 있다면, 내가 사랑하는 여인에게 기도할 권리조차 주지 않겠다.”
 
그는 신화적, 종말론적 이미지를 통해 사랑의 집착과 상실의 고통을 드러내며, 신의 권능마저 사적인 감정의 무게 아래 끌어내립니다.
 
이것이 델타 블루스의 방식이고, 거대한 사건을 가장 인간적인 욕망과 결핍 속으로 끌어와, 그 경계에서 노래합니다.
 
틸트가 델타 블루스를 다루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이 음악은 장르적 유산이기 이전에, 땅속 깊이 묻힌 기억과 기록되지 못한 삶의 흔적, 그리고 여전히 사라지지 않은 울림이 살아 있는 감정의 지층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7월, 틸트는 ‘땅 아래로부터 올라온 노래들’ 델타 블루스 큐레이션을 통해 낡고 긁힌 음질 속에서 되살아나는 감정을 청취했습니다. 델타의 오래된 소리 속에서, 사라진 목소리가 오히려 더욱 또렷하게 다가왔습니다.
 
8월 16일, 그 지층 위로 다시 한 이름이 소환됩니다. 로버트 존슨. 1938년 이날, 그는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것은 한 인물의 죽음이자, 델타 블루스가 사망 선고를 받은 날이었습니다. 이후 블루스는 살아남았지만, 같은 호흡으로는 다시 숨 쉬지 못했습니다.
 
틸트는 이 날을 기점으로 블루스 음악가 김대중에게 기획을 부탁했습니다. 그는 한국 독립음악 씬에서 전통 블루스를 기반으로, 한국의 포크와 가요 정서를 결합해 자신만의 블루스를 구축해 온 음악가입니다.
 
“진정한 슬픔을 음악에 구현하고 싶다”는 그의 말처럼, 그는 블루스를 통해 삶의 질곡을 담담히 기록하는 연주자입니다.
 
그의 시선이야말로 ‘델타의 사망선고일’을 현재 한국에서 다시 불러낼 가장 적확한 방식이라 판단했습니다.
 
김대중은 이 제안에 응했고, 헌정의 형식을 넘어 기록으로 남을 기획을 준비했습니다. 그것은 한 번의 무대가 아닌, 기억의 지층 위에 새겨질 하나의 장면이 되도록.
 

 
* 1부 (약 60분)
블루스 음악가 김대중이 선곡한 로버트 존슨의 음악을 함께 듣습니다. 곡과 곡 사이, 그 노래들이 품은 시간과 장면을 차분히 풀어냅니다.
 
* 2부 (약 50분)
어쿠스틱 기타와 목소리로 이어지는 라이브 공연입니다. 김대중의 곡들과, 잘 알려지지 않은 로버트 존슨의 숨겨진 곡들이 새롭게 울립니다.
 

 
이날의 청취와 연주는 기념이 아니라 기록입니다.
한반도와 델타의 끝에서, 여전히 남아 있는 블루스의 잔향을 함께 더듬습니다.
 

 
일시 : 
8월 16일 (토) 저녁 8시
 
장소 :
TILT —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 1길 10 지층
 
입장료 :
예매 25,000원 / 현매 30,000원
(*음료 1잔 포함, 40명 한정)
 
예매 문의 :
인스타그램 DM 
 
입장 안내 :
공연 시작 30분 전부터 착석 가능합니다. 예매하신 분은 본인 성함을 말씀해 주시면 확인 후 입장하실 수 있습니다. 좌석은 자유석이며, 만석 시 입장이 제한됩니다.

 


 
#Tilt_ALC_Session
 


A Robert Johnson 87th Anniversary Memorial Concert with Tilt (@tiltxfnst) and Seedless Watermelon Kim Dae-jung (@blues_president)
 
Saturday, August 16th at 8:00 PM / 10 Yeonhui-ro 1-gil, Seodaemun-gu, Seoul


If I Had Possession Over Judgment Day
— The Last Day of Robert Johnson, The End of the Delta
 
Robert Johnson's "If I Had Possession Over Judgment Day" brings apocalypse, love, divine judgment, and personal desire onto a single stage.
 
"If I had possession over Judgment Day, I wouldn't even grant the woman I love the right to pray."
 
Through mythical and eschatological imagery, Johnson reveals the obsession of love and the pain of loss, pulling even the power of the divine down to the weight of his personal feelings.
 
This is the way of the Delta blues: to draw monumental events into the most human desires and deficiencies, and to sing from that boundary.
 
This is also why Tilt engages with the Delta blues. Before it was a genre-defining legacy, this music was a geological stratum of emotion—a repository of deeply buried memories, traces of unrecorded lives, and a resonance that still lingers.
 
This past July, through our "Songs from Under the Ground" Delta blues curation, TILT listened to the emotions that came alive within the old, scratched sound quality. In the aged sounds of the Delta, the vanished voices became, paradoxically, even clearer.
 
On August 16th, another name is summoned back to this stratum: Robert Johnson. On this day in 1938, he passed away. It was the death of an individual, and the day the Delta blues was pronounced dead. The blues survived, but it never breathed the same way again.
 
Marking this day, Tilt asked blues musician Kim Dae-jung to curate an event. In the Korean independent music scene, he is a musician who has built his own unique style of blues by combining traditional blues with the sentiments of Korean folk and popular music.
 
As he says, "I want to embody true sorrow in my music," he is a performer who calmly chronicles the hardships of life through the blues.
 
We determined that his perspective was the most fitting way to revisit "the day of the Delta's death sentence" here in present-day Korea.
 
Kim Dae-jung accepted the proposal and has prepared a project that goes beyond a simple tribute to become a lasting record—not just a one-time performance, but a scene to be etched onto the strata of memory.


  • Part 1 (approx. 70 min)
    A listening session of Robert Johnson's music, selected by blues musician Kim Dae-jung. Between the songs, he will calmly unfold the times and scenes that these songs hold.
  • Part 2 (approx. 50 min)
    A live performance with acoustic guitar and voice. Kim Dae-jung's own songs, along with some of Robert Johnson's lesser-known, hidden gems, will resonate anew.

This day of listening and performing is not a memorial, but a record.
From the edge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e Delta, we will trace the lingering reverberations of the blues together.


Date & Time:
Saturday, August 16th at 8:00 PM
 
Venue:
Tilt — B1, 10 Yeonhui-ro 1-gil, Seodaemun-gu, Seoul
 
Admission:
Advance: ₩25,000 / At the Door: ₩30,000
(*Includes one drink, limited to 40 people)
 
Advance Ticket Inquiries:
Instagram DM
 
Entry Information:
Seating begins 30 minutes before the show. If you have reserved in advance, please provide your name at the door for confirmation. Seating is unassigned, and entry may be restricted if all seats are taken.


#Tilt_ALC_Session

 

2025.08.13 WED 9PM (수요일 저녁 9시)

 

Radio Endless : 

A Jazz Blueprint for Fall

— 가을을 기다리는 17곡의 재즈 구조도

 

안녕하세요. 하노아라고 합니다. 일본에서 태어나 자란 고등학생으로, 유포니엄과 트롬본을 연주하며 재즈를 더 깊이 배우고 있습니다. 틸트의 마스터이신 삼촌의 부탁을 받아,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계절, 가을을 주제로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었습니다.

 

첫 곡이 그리는 풍경은 뉴욕이었습니다. 가족과 여행 중, 잠시 머문 카페 창밖으로 바람이 불고 낙엽이 흩날렸습니다. 그때 느낀 재즈의 온도와 공기를 이번 리스트에 담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색소폰이나 트럼펫처럼 앞에서 리드하는 악기를 먼저 떠올리지만, 저는 곡의 온도와 구조를 다잡아주는 소리를 더 좋아합니다.

 

트롬본, 콘트라베이스 같은 악기들이에요. 연주자 입장에서 들어보면, 이 소리들이야말로 곡 전체를 묶어주는 진짜 축 같습니다.

 

꼭 그 풍경이 뉴욕일 필요는 없습니다. 조용히 앉아 쉴 수 있는 시간과 창밖의 공기를 느낄 수 있는 자리라면 어디든 좋습니다. 그런 순간이야말로 곡을 더 깊게 들을 수 있는 때라고 생각합니다.

 

여름이 끝나갈 무렵, 이 음악들이 여러분에게도 계절을 천천히 걸어가는 기분을 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Curated & Photos by Guest Listner,

하노아

 

1. Wayne Shorter – Yes or No [1965]

2. Benjamin Henocq, Sylvain Romano, Max Ionata – Parker 51 [2016]

3. Clifford Brown & Max Roach – Joy Spring [1954]

4. Count Basie – Orange Sherbert [1975]

5. Duke Ellington – Take the “A” Train [1939]

6. Bill Evans – On Green Dolphin Street [1975]

7. Glen Gray – Sunrise Serenade [1939]

8. New York Unit - Smoke Gets in Your Eyes [1992]

9. Sonny Rollins – In a Sentimental Mood [1956]

10. Baptiste Herbin – Scene on Seine [2020]

11. Tommy Flanagan – In the Blue of the Evening [1956]

12. Louis Armstrong – On the Sunny Side of the Street [1934]

13. Art Blakey & The Jazz Messengers – Moanin’ [1959]

14. Bill Evans Trio – Autumn Leaves [1960]

15. Fred Hersch – Lotus Blossom [1996]

16. Chet Baker – Tenderly [1955]

17. Dave Brubeck Quartet – Take Five [1959]

 

*About #Tilt_Radio_Endless 011 :

매주 수·목 저녁 9시, 틸트에서 열리는 청취 프로그램입니다.

익숙한 감정과 누군가의 기억, 느슨하게 흐르는 감각들로 하나의 시간이 천천히 이어집니다. 틸트가 직접, 혹은 게스트 큐레이터와 함께 만들어갑니다.

 

Radio Endless:

A Jazz Blueprint for Fall
— A 17-track guide to awaiting autumn

 

Hello. My name is Noah Ha. I'm a high school student born and raised in Japan, and I'm delving deeper into jazz while playing the euphonium and trombone. At the request of my uncle, the master at Tilt, I’ve created a playlist with the theme of my favorite season, autumn.

 

The first song paints a picture of New York. During a family trip, I was sitting in a café when the wind blew and leaves scattered outside the window. I tried to capture the temperature and atmosphere of the jazz I felt at that moment in this list.

 

Many people first think of lead instruments like the saxophone or trumpet, but I prefer the sounds that establish the song's temperature and structure.

 

Instruments like the trombone and contrabass. From a performer's perspective, these sounds feel like the real axis that holds the entire piece together.

 

It doesn't have to be that exact New York scenery. Any place where you can sit quietly and feel the air outside the window is perfect. I believe those are the moments when you can listen to a song more deeply.

 

As summer comes to a close, I hope this music can give you the feeling of slowly walking into the new season.

 

Curated & Photos by Guest Listener,

Noah Ha

 

*About #Tilt_Radio_Endless 011 :

This is a listening program held at Tilt every Wednesday and Thursday at 9 PM. A single hour unfolds slowly with familiar emotions, someone's memories, and loosely flowing senses. It is curated directly by Tilt or together with a guest curator.

 

500

 

 

 

 

 

 

Peter Rehberg - Work for GV 2004–2008 [2009]
— 소음의 연출, 신체의 서사

피터 레버그(Peter Rehberg)는 노이즈와 글리치, 실험 전자음악의 경계를 확장한 사운드 아티스트이자, 음향을 통해 인간 심리의 깊은 단면과 신체의 내면적 긴장을 직조해온 음향 연출가입니다.

본 앨범 Work for GV 2004–2008은 프랑스-오스트리아 연출가 지젤 비엔(Gisèle Vienne)과의 협업을 집대성한 기록으로, 공연 I Apologize, Une belle enfant blonde, Jerk를 위해 작곡된 곡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작업들에서 레버그의 사운드는 무대 위 인물의 내면을 구축하고 관객의 신경계를 직접적으로 자극하는 극적 장치(dramaturgical element)로 기능합니다.

날카로운 고주파, 깊은 저역의 드론, 침묵의 간극, 기계적 불협은 감정의 결을 세밀하게 드러내며, 소리를 통해 폭력과 불안, 잔혹성과 애도의 정서를 청각적으로 번역합니다.

그의 소리는 우연한 소음이 아닌, 무대 위의 보이지 않는 심리와 신체를 청취 가능한 형태로 구성해낸 하나의 언어입니다.

따라서 이 앨범은 청취자를 불편하게 하거나 자극하는 대신, 극적 상황에 내재된 감정의 밀도와 심리적 파열음을 고요히 전이시킵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Peter Rehberg의 Work for GV 2004–2008은, 지젤 비엔과의 협업을 통해 제작된 음반으로, 소리가 무대 밖 정서와 심리 구조를 어떻게 구축할 수 있는지를 실험합니다.

청취자는 음악의 흐름이 아닌, 파편적 고주파와 침묵, 진동의 여운을 따라 감각의 경계에 머무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Tilt는 이 작업이 감각의 인식 이전, 그 문턱에 놓인 상태를 사유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이 되기를 바랍니다.

#Infrathin_Reveries



Peter Rehberg :
Work for GV 2004–2008
발매일: 2008년 10월 31일
총 8곡, 55분

1. Murder Version
2. ML6
3. Slow Investigation
4. Black Holes
5. Pia
6. ML3
7. Boxes & Angels
8. Final Jerk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Peter Rehberg - Work for GV 2004–2008
— The Direction of Noise, The Narrative of the Body

 

Peter Rehberg was a sound artist who expanded the boundaries of noise, glitch, and experimental electronic music, and a sonic director who wove together the deep facets of human psychology and the internal tensions of the body through sound.

 

This album, Work for GV 2004–2008, is a comprehensive record of his collaboration with the French-Austrian director Gisèle Vienne, centered on pieces composed for the performances I Apologize, Une belle enfant blonde, and Jerk.

In these works, Rehberg's sound functions as a dramaturgical element, constructing the inner world of the characters on stage and directly stimulating the audience's nervous system.

 

Sharp high frequencies, deep low-end drones, gaps of silence, and mechanical dissonance meticulously reveal the texture of emotion, aurally translating sentiments of violence, anxiety, cruelty, and mourning through sound.

His sound is not accidental noise but a language that constitutes the invisible psychology and physicality on stage into an audible form.

 

Therefore, instead of merely unsettling or provoking the listener, this album quietly transfers the density of emotion and the psychological ruptures inherent in the dramatic situations.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Peter Rehberg's Work for GV 2004–2008, an album produced through his collaboration with Gisèle Vienne, experiments with how sound can construct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ructures outside of the stage.

 

The listener experiences dwelling at the boundary of sensation, following not a musical flow but fragmented high frequencies, silence, and the afterglow of vibrations. Tilt hopes this work becomes a possibility for contemplating the state that lies at the threshold, before the perception of sensation.

 

#Infrathin_Reveries


Peter Rehberg:
Work for GV 2004–2008
Release Date: October 31, 2008
8 tracks, 55 minutes

  1. Murder Version
  2. ML6
  3. Slow Investigation
  4. Black Holes
  5. Pia
  6. ML3
  7. Boxes & Angels
  8. Final Jerk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within the Phonic Cycle, a sound curation program in our space, during Tilt's August theme period. The listening experienc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t every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daily.

 

Lisa Lerkenfeldt – Collagen [2020]
— 숨겨진 공명, 감각의 가장 여린 진동

호주 멜버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곡가이자 사운드 아티스트 리사 레르켄펠트(Lisa Lerkenfeldt)는, ‘듣기’의 조건 자체를 예술의 중심에 둡니다. 그녀에게 청취란 세계를 재배치하고 일상의 표면 아래에 잠재된 감각의 지형을 드러내는 사유적 실천입니다.

그녀의 작업은 아날로그 테이프, 복숭아나무 빗, 현악기, 피아노, 피드백 등 일상과 기술, 물성과 개입 사이를 유영하며, 감각의 틈에서 새로운 음향 질서를 구축합니다.

정규 데뷔작 ‘Collagen’은 이러한 미학이 가장 정제된 형태로 수렴된 결과입니다. 물리적으로 편집된 테이프 루프, 반복과 재구성, 일상적 제스처로부터 파생된 사운드의 흔적은 하나의 악보가 되고, 음악은 서사적 구조가 아닌 표면 위에 드리운 잔상처럼 작동합니다.

이 앨범은 확고한 형식이나 명료한 전개를 의도적으로 회피합니다. 청취자는 해체된 감각의 파편 속에서 머무르며, 미세하게 떨리는 음향의 결, 그 사이를 채우는 침묵의 간극에 감응하게 됩니다.

이는 명시적으로 들리지 않는 것들로부터 울려오는 ‘숨겨진 공명’의 청취이자, 비가시적 감각의 조건을 다시 구성해나가는 조용한 제안입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Lisa Lerkenfeldt의 Collagen은 감각과 무감각 사이의 가장 미세한 경계에서 작동하는 ‘인프라신’의 층위로 조명됩니다. 이는 하나의 구조적 음향 환경이며, 청취는 그 안에서 반응하는 몸의 작은 진동, 기억의 지연, 존재의 미묘한 흔들림으로 나타납니다.

감정이 아니라 감각 그 자체를 다루는 음악.
들리는 것 너머에서, Collagen은 들리지 않던 공명을 불러옵니다.

#Infrathin_Reveries



Lisa Lerkenfeldt – Collagen
발매일: 2020년 8월 21일
총 6곡, 36분

1. In Her Hair
2. Collagen
3. Gates Of Desire
4. Music For Three Combs
5. The Weight Of History
6. Champagne Smoke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Lisa Lerkenfeldt – Collagen
— Hidden Resonance, the Most Delicate Vibration of Sensation

 

Based in Melbourne, Australia, composer and sound artist Lisa Lerkenfeldt places the very condition of 'listening' at the center of her art. For her, listening is a contemplative practice that rearranges the world and reveals the sensory topography latent beneath the surface of everyday life.

 

Her work drifts between the everyday and technology, materiality and intervention—using analog tape, peachwood combs, string instruments, piano, and feedback—to construct a new sonic order in the fissures of sensation.

 

Her official debut album, Collagen, is the result of this aesthetic converging in its most refined form. Physically edited tape loops, repetition and reconstruction, and the traces of sound derived from everyday gestures become a kind of musical score, and the music functions not as a narrative structure but as an afterimage lingering on a surface.

 

This album intentionally avoids firm formats or clear progressions. The listener is invited to dwell within the fragments of deconstructed sensation, attuning to the texture of minutely trembling sounds and the silent gaps that fill the space between them.

 

This is a listening for a "hidden resonance" that emanates from things not explicitly heard, and a quiet proposal to reconfigure the conditions of non-visual sensation.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Lisa Lerkenfeldt's Collagen is illuminated as a layer of "infrathin," operating at the finest boundary between sensation and non-sensation. It is a structural sonic environment, and listening manifests within it as the small vibrations of a responding body, the delay of memory, and the subtle tremor of existence.

 

Music that deals not with emotion, but with sensation itself.


From beyond what is heard, Collagen summons a resonance that was previously unheard.

 

#Infrathin_Reveries


Lisa Lerkenfeldt – Collagen
Release Date: August 21, 2020
6 tracks, 36 minutes

  1. In Her Hair
  2. Collagen
  3. Gates Of Desire
  4. Music For Three Combs
  5. The Weight Of History
  6. Champagne Smoke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within the Phonic Cycle, a sound curation program in our space, during Tilt's August theme period. The listening experienc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t every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daily.

 

Suum Cuique – Ascetic Ideals [2012]
— 기계의 숨소리, 질서와 붕괴의 경계

‘각자에게 그의 몫을’이라는 라틴어 문장을 이름으로 삼은 Suum Cuique(수움 쿠우쿠)는 마일스 휘태커(Miles Whittaker)의 개인 프로젝트입니다. 이 이름은 프로듀서로서의 정체성과 실천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 선언에 가깝습니다.

컴퓨터, 시퀀서, MIDI, 그리고 모든 동기화 장치를 거부하며, 아날로그 장비와의 물리적 접촉만으로 만들어진 이 음반은 음악이라기보다 한 편의 오디오 실험에 가깝습니다. 오작동하는 테크노, 포탄처럼 터지는 음향의 공백, 불협화음의 밀도 높은 질감. 마일스 휘태커는 이 모든 ‘결함’을 의도적 구조로 전환합니다.

Ascetic Ideals는 드럼머신과 신디사이저가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불완전한 사운드를 그대로 수용하며, 편집 없는 실시간 믹싱, 때로는 의도하지 않은 우연까지 모두 수렴합니다. 이는 제작자의 개입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기계가 스스로 ‘소리의 깊은 어둠’을 드러내도록 허락하는 작업입니다.

앨범의 음향은 마치 깊은 지하의 저장고, 드러나지 않던 본능의 층위에서 흘러나오는 숨결처럼 무겁고 건조하며, 익숙한 음악적 구조를 완전히 거부합니다. 완결을 유보한 채, 그저 사운드라는 사건이 감각 위를 지나가도록 방치합니다.

청취자는 이 앨범에서 감각의 가장 거친 표면과 마주합니다. Ascetic Ideals는 귀를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그 청취 자체가 하나의 물리적 불안으로 침투되기를 요구합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Suum Cuique의 Ascetic Ideals는 음악이라는 완성된 구조를 거부하고, 청취자가 ‘소리의 경계선’에 머무는 경험으로 이끕니다.

이제 음악은 더 이상 형태를 갖춘 예술이 아닌, 기계와 공간 사이에서 자율적으로 발생하는 하나의 사건으로, 청취는 그 사건에 감각적으로 반응하는 실천으로 전환됩니다.

#Infrathin_Reveries



Suum Cuique – Ascetic Ideals
발매일: 2012년 5월 2일
총 8곡, 45분

1. Strohtopf
2. Kuiper Anomaly
3. Atlas Levels
4. Core Value
5. Intonation
6. Deus Ex Machina
7. Proton Aesthetic
8. Dionysus Decay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Suum Cuique – Ascetic Ideals
— The Machine's Breath, the Boundary of Order and Collapse

 

Suum Cuique, a Latin phrase meaning "to each his own," is the solo project of Miles Whittaker. The name is akin to a declaration, unapologetically revealing his identity and practice as a producer.

 

Rejecting computers, sequencers, MIDI, and all synchronization devices, this record, created solely through physical contact with analog equipment, is less music and more an audio experiment. Malfunctioning techno, sonic voids that explode like cannonballs, the dense texture of dissonance—Miles Whittaker transforms all these "flaws" into an intentional structure.

 

Ascetic Ideals embraces the imperfect sounds automatically generated by drum machines and synthesizers, incorporating unedited real-time mixing and even unintended accidents. It is a process that allows the machine itself to reveal the "deep darkness of sound" with minimal intervention from the creator.

 

The album's sound is heavy and dry, like a breath flowing from a deep underground storage vault, from a layer of previously unrevealed instinct, completely rejecting familiar musical structures. It suspends completion, simply allowing the event of sound to pass over the senses.

 

On this album, the listener confronts the roughest surface of sensation. Ascetic Ideals does not aim to stimulate the ear, but demands that the act of listening itself permeates as a form of physical unease.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Suum Cuique's Ascetic Ideals rejects the finished structure of music and leads the listener to an experience of dwelling on the "borderline of sound."

 

Here, music is no longer an art form with a defined shape, but an event that autonomously occurs between machine and space. Listening is transformed into a practice of sensorially responding to that event.

 

#Infrathin_Reveries


Suum Cuique – Ascetic Ideals
Release Date: May 2, 2012
8 tracks, 45 minutes

  1. Strohtopf
  2. Kuiper Anomaly
  3. Atlas Levels
  4. Core Value
  5. Intonation
  6. Deus Ex Machina
  7. Proton Aesthetic
  8. Dionysus Decay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within the Phonic Cycle, a sound curation program in our space, during Tilt's August theme period. The listening experienc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t every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daily.

 


Else Marie Pade & Jacob Kirkegaard - SVÆVNINGER [2013]
— 감각의 내면, 소리의 미지로 향하는 진동

‘SVÆVNINGER(스베브닝어)’는 50년 이상의 시간차를 둔 두 덴마크 사운드 아티스트, 엘스 마리 파데(Else Marie Pade)야콥 키르케고르(Jacob Kirkegaard)의 협업으로 탄생한 사운드 드로잉입니다. 파데는 1950년대 뮤직 콩크리트의 영향을 받은 덴마크 전자음악의 선구자이며, 키르케고르는 인간의 귓속, 체르노빌의 폐허, 지하수계 등 감각의 경계를 넘나드는 소리를 탐색해온 현대 사운드 아티스트입니다.

SVÆVNINGER(스베브닝어)는 덴마크어로 ‘맥놀이’, 즉 두 주파수가 충돌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비트 간섭을 뜻합니다. 이 앨범은 파데의 아카이브에서 발굴된 미공개 사운드 실험들과 키르케고르가 자신의 청각 기관에서 직접 채집한 자발적 이음향 방출(OAE)을 조합해 만들어졌으며, 기계와 신체, 과거와 현재, 외부와 내부를 잇는 청각적 통로로 기능합니다.

청취자는 더 이상 외부의 사운드를 ‘듣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귀 자체가 공명체이자 새로운 소리를 생성하는 장치로 작동하게 됩니다. 긴장감 있게 지속되는 두 음 사이의 미세한 높낮이 차이는, 감지와 착각, 물리와 심리를 가로지르며 신체 내부에서 제3의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이 앨범은 완결된 이야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불완전함을 유지함으로써 상상력을 열어두고, 청취자 스스로가 그 빈 공간에 의미를 투사하게 합니다. 그것은 청취의 가장 내밀한 메커니즘에 질문을 던지는 사운드의 실험실입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SVÆVNINGER 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 채 통과해온 미세한 진동, 감각의 틈새에서 울리는 음향을 조명합니다. 소리는 더 이상 외부의 자극이 아니라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건, 그리고 신체와 청각 사이의 인프라신적인 간극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경험으로 작동합니다.

Tilt는 이 청취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듣고 있으며, 또 그 듣기라는 행위가 우리 안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다시 질문합니다.

#Infrathin_Reveries



Else Marie Pade & Jacob Kirkegaard – SVÆVNINGER
발매일: 2013년 5월 28일
총 7곡, 약 54분

1. Cirrocumulus
2. Cirrostratus
3. Stratus
4. Altocumulus
5. Cumulonimbus
6. Nimbostratus
7. Bortdragende Regnskyer

*Cirrocumulus : 권적운

높은 하늘에 떠 있는 작은 구름 조각들

*Cirrostratus : 권층운
얇고 넓게 퍼진, 해나 달을 희미하게 보이게 하는 구름

*Stratus : 층운
낮은 고도에서 수평으로 퍼진 흐린 구름

*Altocumulus : 고적운
중간 고도에서 관찰되는 둥글고 하얀 구름

*Cumulonimbus : 적란운
뇌우를 동반하는 거대한 수직형 구름

*Nimbostratus : 난층운
지속적인 비나 눈을 내리게 하는 어두운 구름

*Bortdragende Regnskyer : 멀어져가는 비구름
떠나가는 비구름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Else Marie Pade & Jacob Kirkegaard - SVÆVNINGER
— The Interior of Sensation, a Vibration Towards the Unknown of Sound

 

SVÆVNINGER is a sound drawing born from the collaboration of two Danish sound artists separated by more than 50 years: Else Marie Pade and Jacob Kirkegaard. Pade was a pioneer of Danish electronic music, influenced by musique concrète in the 1950s, while Kirkegaard is a contemporary sound artist who has explored sounds that traverse the boundaries of sensation, from inside the human ear to the ruins of Chernobyl and subterranean water systems.

 

SVÆVNINGER is the Danish word for "beatings," the subtle interference that occurs when two frequencies collide. The album was created by combining unreleased sound experiments unearthed from Pade's archives with Kirkegaard's own recordings of "otoacoustic emissions" (OAE) captured directly from his auditory organs. It functions as an auditory passage connecting machine and body, past and present, exterior and interior.

 

The listener is no longer a being who simply "hears" external sounds; their own ear becomes a resonator, a device that generates new sound. The minute pitch difference between two sustained, tense tones crosses the line between perception and illusion, physics and psychology, creating a third sound from within the body.

 

This album does not offer a complete narrative. Instead, by maintaining a state of incompleteness, it opens up the imagination, allowing the listener to project their own meaning into the empty space. It is a sonic laboratory that questions the most intimate mechanisms of listening.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SVÆVNINGER illuminates the subtle vibrations we pass through without recognition, the acoustic phenomena that resonate in the gaps of our senses. Sound is no longer an external stimulus but an event that occurs internally, a new experience generated in the infrathin gap between the body and the auditory sense.

 

Through this listening experience, Tilt re-examines what we are hearing and how the act of listening itself operates within us.

#Infrathin_Reveries


Else Marie Pade & Jacob Kirkegaard – SVÆVNINGER
Release Date: May 28, 2013
7 tracks, approx. 54 minutes

  1. Cirrocumulus
  2. Cirrostratus
  3. Stratus
  4. Altocumulus
  5. Cumulonimbus
  6. Nimbostratus
  7. Bortdragende Regnskyer
  • Cirrocumulus: Small patches of cloud high in the sky.
  • Cirrostratus: A thin, widespread layer of cloud that makes the sun or moon appear hazy.
  • Stratus: A hazy, greyish cloud layer at a low altitude.
  • Altocumulus: White, rounded cloud masses observed at mid-altitudes.
  • Cumulonimbus: A dense, towering vertical cloud that brings thunderstorms.
  • Nimbostratus: A dark cloud layer that brings continuous rain or snow.
  • Bortdragende Regnskyer: Departing rain clouds.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within the Phonic Cycle, a sound curation program in our space, during Tilt's August theme period. The listening experienc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t every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daily.

 

Roly Porter – Aftertime [2011]
— 감각의 조건, 이야기 이후의 청취

영국 브리스톨 출신의 작곡가 롤리 포터(Roly Porter)는 클럽 문화의 심장부에서 출발했지만, Aftertime을 통해 사운드의 보다 근원적인 층위로 이동합니다. 덥스텝 듀오 Vex’d(백스트)에서 체득한 압도적 음향 경험을 발판 삼아, 그는 이 데뷔 앨범에서 리듬과 서사의 틀을 해체하고, 청취 그 자체의 조건을 재구성합니다.

Aftertime은 비트의 중심을 제거한 채, 녹음된 어쿠스틱 소스를 급진적으로 변형하고 재조합해 독자적인 음향 세계를 구축하는데, 거대한 서브베이스의 압력과 금속성 마찰음, 블랙홀처럼 삼켜 들어가는 리버브는 단지 듣는 것을 넘어, 청취자의 감각을 우주의 외연으로 확장시키는 물리적 경험을 형성합니다.

앨범의 트랙명은 프랭크 허버트의 SF 서사 듄(Dune)에 등장하는 행성들에서 차용되었으나, Aftertime이 구성하는 청각적 세계는 추상적 서사보다 존재론적 사운드의 밀도에 가까운 공간입니다. 그 안에서 시간은 흐르지 않고 압축되며, 음악은 진행되지 않고 정지된 채 파동처럼 울려 퍼집니다.

이러한 극한의 환경 속에서 온데 마르테노(Ondes Martenot)의 선율이나 현악기의 잔향은 잔혹한 황량함과 서정적 아름다움이 교차하는 지점을 형성합니다. 이 충돌은 감정의 해석을 유예한 채, 청취자 스스로가 감각의 균열에서 의미를 발견하도록 이끕니다.

Aftertime은 어떤 감정도 강요하지 않으며, 어떤 이야기도 완결하지 않고, 오히려 이 음향적 구조는 질문을 남깁니다.

우리는 무엇을 듣고 있고, 그 듣기는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가.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Roly Porter의 Aftertime은 감각의 가장 미세한 틈에서 작동하는 음악적 실천으로 조명됩니다. 이 앨범은 감정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지 않고, 의미와 감각 사이의 미묘한 진동, 정서와 물리 사이의 ‘얇은 막’을 구성합니다. 압도적인 음향 구조와 서정적인 선율의 충돌 속에서, 청취자에게 감각의 문턱에 머무는 상태로 이끕니다.

Tilt는 이 작은 진동, 사소한 떨림, 끝내 해소되지 않는 잔향 속에서 청취가 어떻게 감각의 구조로 작동하는지를 실험합니다.

Aftertime은 그 경계에 서는 행위 자체가 청취임을 상기시키는 작업입니다.

#Infrathin_Reveries



Roly Porter – Aftertime
발매일: 2011년 9월 11일
총 11곡, 47분

1. Atar
2. Tleilax
3. Kaitain
4. Corrin
5. Al Dhanab
6. Ix
7. Hessra
8. Rossak
9. Caladan
10. Giedi Prime
11. Arrakis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Roly Porter – Aftertime
— The Condition of Sensation, Listening After the Story

 

Hailing from Bristol, UK, composer Roly Porter began his journey in the heart of club culture, but with Aftertime, he shifts to a more fundamental layer of sound. Building on the overwhelming sonic experiences he mastered as part of the dubstep duo Vex'd, he deconstructs the framework of rhythm and narrative in this debut album, reconfiguring the very conditions of listening itself.

 

Aftertime removes the centrality of the beat, instead building a unique sonic world by radically transforming and reassembling recorded acoustic sources. The immense pressure of sub-bass, metallic friction, and reverb that swallows sound like a black hole creates a physical experience that goes beyond mere listening, extending the listener's senses to the outer reaches of the cosmos.

 

The album's track titles are borrowed from the planets in Frank Herbert's sci-fi epic Dune, but the auditory world constructed by Aftertime is a space closer to the density of ontological sound than to an abstract narrative. Within it, time does not flow but is compressed; music does not progress but resonates like a wave while standing still.

 

In this extreme environment, the melodies of the Ondes Martenot or the reverberations of strings form a point of intersection between brutal desolation and lyrical beauty. This collision suspends emotional interpretation, guiding the listener to discover meaning in the fissures of sensation for themselves.

 

Aftertime does not impose any emotion, nor does it complete any story. Instead, this sonic structure leaves a question:

What are we listening to, and how far can that listening extend?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Roly Porter's Aftertime is highlighted as a musical practice that operates in the finest gaps of sensation. The album does not convey emotion directly but constructs a "thin membrane" between meaning and sensation, between emotion and physicality. Amidst the clash of overwhelming sonic structures and lyrical melodies, it leads the listener to a state of dwelling at the threshold of sensation.

 

Tilt experiments with how listening functions as a structure of sensation within these small vibrations, these minor tremors, these ultimately unresolved reverberations.

 

Aftertime is a work that reminds us that the very act of standing on that boundary is listening.

 

#Infrathin_Reveries


Roly Porter – Aftertime
Release Date: September 11, 2011
11 tracks, 47 minutes

  1. Atar
  2. Tleilax
  3. Kaitain
  4. Corrin
  5. Al Dhanab
  6. Ix
  7. Hessra
  8. Rossak
  9. Caladan
  10. Giedi Prime
  11. Arrakis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within the Phonic Cycle, a sound curation program in our space, during Tilt's August theme period. The listening experienc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t every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daily.

 

Kyle Bobby Dunn -
Bring Me The Head of Kyle Bobby Dunn [2012]
— 슬픔 속의 기쁨, 그리고 그 반대의 감정에 머무는 시간

카일 바비 던(Kyle Bobby Dunn)은 캐나다 출신의 작곡가이자 사운드 아티스트로, 특정 장르에 자신을 한정하지 않습니다. 그는 자신의 작업을 앰비언트나 드론으로 분류하는 시선을 피해가며, 음악을 기억과 상실, 멜랑콜리와 고독의 진동을 담은 ‘음향적 자서전(sonic autobiography)’이라 정의합니다. 이는 표면적인 배경음이 아니라, 내밀한 감정의 결을 담아낸 하나의 정서적 기록입니다.

그의 주요 악기는 일렉트릭 기타 하나지만, 루프와 중첩을 통해 만들어지는 사운드는 느리게 침강하는 지층처럼 장엄하고 섬세하게 전개됩니다. 고정된 멜로디나 구조보다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질감과 뉘앙스가 서서히 변화하는 감정의 풍경에 집중하는 것이 그의 방식입니다. 그의 음악은 따뜻함, 피로, 향수, 고립과 같은 일상의 정서를 말없이 건넵니다.

2012년에 발표된 ‘Bring Me The Head of Kyle Bobby Dunn’은 이러한 예술적 태도가 가장 깊고 복합적인 형태로 응축된 더블 앨범입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시간 속에서 포착된 단상들이 길고 명상적인 드론과 짧은 비네트(vignette)의 형태로 교차하며, 마치 의식의 흐름처럼 전개되는 청취의 여정을 이끕니다.

이 작업에서 시간은 선형적으로 흐르지 않습니다. 현재의 감각과 과거의 회상이 서로를 침식하며 스며들고, 기쁨과 슬픔, 평온과 불안이 이분법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정서의 층위 속에서 공존합니다. “The Hungover”, “Innisfal (Rivers of My Fathers)”, “Parkland” 등의 곡들은 삶의 구체적 순간들과 감정의 잔결을 섬세하게 포착합니다.

결국 이 앨범은 완성된 서사를 전달하기보다는, 청취자 각자가 자신의 감정과 기억을 투영할 수 있는 반사면(reflective space)을 제안합니다. 가장 사적인 고백이 가장 보편적인 공감으로 확장되는 이 공간 속에서, 청취는 하나의 내면적 작용으로 재정의됩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카일 바비 던의 음악은 감정의 ‘해결’보다 ‘머무름’에 가깝습니다. 하나의 구조보다 한 겹의 공기, 하나의 문장보다 한 호흡의 여백처럼 이 작업은 청취자가 자신의 시간과 감각을 재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조용히 열어둡니다.

#Infrathin_Reveries



Kyle Bobby Dunn -
Bring Me The Head of Kyle Bobby Dunn

Part.1

1. Canticle of Votier’s Flats
2. La Chanson de Beurrage
3. Ending of All Odds
4. Douglas Glen Theme
5. An Evening With Dusty
6. The Hungover
7. Diamond Cove (And Its Children Were Watching)

Part.2

1. The Troubles With Tres Belles
2. Innisfal (Rivers of My Fathers)
3. The Calm Idiots of Yesterday
4. Parkland
5. Completia Terrace
6. In Search of a Poetic Whole
7. Kotylak
8. Moitie Et Moitie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Kyle Bobby Dunn -
Bring Me The Head of Kyle Bobby Dunn
— Joy in Sadness, and the Time Spent Dwelling in the Opposite Emotion

 

Kyle Bobby Dunn is a Canadian composer and sound artist who does not confine himself to a specific genre. He sidesteps classifications like ambient or drone, defining his work as a "sonic autobiography" that captures the vibrations of memory and loss, melancholy and solitude. It is not superficial background music, but an emotional record containing the texture of intimate feelings.

 

His primary instrument is a single electric guitar, but the sound, created through loops and layering, unfolds majestically and delicately, like slowly settling geological strata. His method focuses on a landscape of emotions where texture and nuance gradually change over time, rather than on fixed melodies or structures. His music wordlessly conveys everyday emotions such as warmth, fatigue, nostalgia, and isolation.

 

Released in 2012, Bring Me The Head of Kyle Bobby Dunn is a double album where this artistic attitude is condensed into its deepest and most complex form. Fragments captured between 2007 and 2011 are interspersed in the form of long, meditative drones and short vignettes, leading a listening journey that unfolds like a stream of consciousness.

 

In this work, time does not flow linearly. Present sensations and past recollections seep into and erode one another, while joy and sadness, tranquility and anxiety coexist within emotional layers that are not dichotomously separated. Tracks like "The Hungover," "Innisfal (Rivers of My Fathers)," and "Parkland" delicately capture specific moments of life and the fine ripples of emotion.

 

Ultimately, this album does not deliver a finished narrative but proposes a reflective space onto which each listener can project their own emotions and memories. In this space, where the most private confession extends into the most universal empathy, listening is redefined as an internal act.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Kyle Bobby Dunn's music is closer to "dwelling in" emotion than "resolving" it. Like a layer of air rather than a structure, like the space of a single breath rather than a sentence, this work quietly opens a space for the listener to reconstruct their own time and sensation.

 

#Infrathin_Reveries


Kyle Bobby Dunn:
Bring Me The Head of Kyle Bobby Dunn
Release Date: June 25, 2012
15 tracks, 2 hours 2 minutes

 

Part 1

  1. Canticle of Votier’s Flats
  2. La Chanson de Beurrage
  3. Ending of All Odds
  4. Douglas Glen Theme
  5. An Evening With Dusty
  6. The Hungover
  7. Diamond Cove (And Its Children Were Watching)

Part 2

  1. The Troubles With Tres Belles
  2. Innisfal (Rivers of My Fathers)
  3. The Calm Idiots of Yesterday
  4. Parkland
  5. Completia Terrace
  6. In Search of a Poetic Whole
  7. Kotylak
  8. Moitie Et Moitie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within the Phonic Cycle, a sound curation program in our space, during Tilt's August theme period. The listening experienc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t every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daily.

 

Laurel Halo – Atlas [2023]
— 실재하지 않는 장소들을 위한, 하나의 청취 환경

로럴 헤일로(Laurel Halo)는 동시대 전자음악에서 가장 정의하기 어려운 작곡가이자 프로듀서입니다.

그녀는 장르의 경계를 해체하고, 감정보다 분위기(atmosphere), 구조보다 감각의 흐름에 집중하며
소리를 통해 기억과 장소, 무의식의 지형도를 구축해 왔습니다.

2023년 발표된 Atlas는 그녀의 음악적·철학적 여정이 가장 정제된 형태로 응축된 작업입니다.

팬데믹 시기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장소감”에 대한 반응으로 탄생한 이 앨범은, 실재하지 않는 공간들을 위한 사운드 환경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앨범은 피아노 즉흥연주를 중심축으로, 루시 레일턴(Lucy Railton)의 첼로, 벤딕 기스케(Bendik Giske)의 색소폰, ‘제임스 언더우드(James Underwood)’의 바이올린, 코비 세이(Coby Sey)의 보컬 등의 연주가 겹겹이 더해집니다.

이 사운드들은 파리 Ina-GRM 스튜디오에서 전자적 처리 과정을 거치며 어쿠스틱과 디지털, 실내악과 앰비언트 사이의 경계를 흐리는 안개 같은 매트릭스로 정리됩니다.

이 앨범에서 청취자는 명확한 구조나 감정의 언어를 따르기보다는, 슬픔과 평온, 불안과 황홀함이 스며드는 정서의 층위 속에 머무르게 됩니다. 청취의 흐름은 꿈처럼 비선형적이고, 직관적인 감각을 따라 흘러갑니다.

Atlas는 곡이 아닌 환경, 결과물이 아닌 경험으로 구성됩니다. 그 안에서 우리는 음악을 ‘듣는다’기보다, 감각이 깨어나는 순간의 미세한 떨림을 포착하게 됩니다.

로럴 헤일로는 이 작업을 통해, 소리가 만들어내는 분위기 자체를 하나의 청취 구조로 제안합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Laurel Halo의 Atlas는 이 중 특히 ‘분위기와 감각의 층위가 구성되는 방식’에 주목하는 작업입니다.

감정이 아닌 기류처럼 퍼지는 분위기, 구조가 아닌 몽상의 흐름 속에서 청취자는 하나의 감각적 환경에 잠시 머무는 존재로 거듭납니다.

Tilt는 이 앨범을 통해 감각이 논리보다 먼저 작동하는 방식, 그리고 사운드가 하나의 투명한 공간을 설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함께 듣고자 합니다.

#Infrathin_Reveries



Laurel Halo – Atlas
발매일: 2023년 9월 22일
총 10곡, 41분

참여 아티스트:
* Lucy Railton – 첼로
* James Underwood – 바이올린
* Bendik Giske – 색소폰
* Coby Sey – 보컬

1. Abandon
2. Naked to the Light
3. Late Night Drive
4. Sick Eros
5. Belleville
6. Sweat, Tears or the Sea
7. Atlas
8. Reading the Air
9. You Burn Me
10. Earthbound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Laurel Halo – Atlas
— A Listening Environment for Places That Don't Exist

 

Laurel Halo is one of the most difficult-to-define composers and producers in contemporary electronic music.

 

She dismantles the boundaries of genre, focusing on atmosphere over emotion and the flow of sensation over structure, constructing topographies of memory, place, and the unconscious through sound.

 

Released in 2023, Atlas is a work in which her musical and philosophical journey is condensed into its most refined form.

 

Born as a response to the "sense of placelessness" felt during the pandemic, this album is designed as a sound environment for spaces that do not actually exist.

 

The album is centered around piano improvisations, layered with performances by Lucy Railton on cello, Bendik Giske on saxophone, James Underwood on violin, and Coby Sey on vocals.

 

These sounds were electronically processed at the Ina-GRM studio in Paris, organized into a fog-like matrix that blurs the lines between acoustic and digital, chamber music and ambient.

 

Within this album, the listener is invited to dwell within layers of emotion where sorrow and tranquility, anxiety and ecstasy seep in, rather than following a clear structure or emotional language. The flow of listening is non-linear, like a dream, drifting along with intuitive sensations.

 

Atlas is composed not of songs but of an environment, not as a final product but as an experience. Within it, we do not so much "listen" to music as we capture the subtle tremors of the moment sensation awakens.

Through this work, Laurel Halo proposes the atmosphere created by sound itself as a listening structure.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Laurel Halo's Atlas is a work that particularly focuses on "the way atmosphere and sensory layers are constructed."

 

In an atmosphere that spreads like a current rather than an emotion, and in a flow of reverie rather than structure, the listener is reborn as a being who temporarily resides in a sensory environment.

 

Through this album, Tilt hopes to listen together to the way sensation operates before logic, and the possibility that sound can design a transparent space.

 

#Infrathin_Reveries


Laurel Halo – Atlas
Release Date: September 22, 2023
10 tracks, 41 minutes

Featured Artists:

  • Lucy Railton – Cello
  • James Underwood – Violin
  • Bendik Giske – Saxophone
  • Coby Sey – Vocals
  1. Abandon
  2. Naked to the Light
  3. Late Night Drive
  4. Sick Eros
  5. Belleville
  6. Sweat, Tears or the Sea
  7. Atlas
  8. Reading the Air
  9. You Burn Me
  10. Earthbound

 


Stephen O’Malley & Anthony Pateras – Sept duos pour guitare acoustique & piano préparé [2023]
— 침묵과 울림 사이, 경건한 청취의 기록

드론 메탈 밴드 Sunn O)))의 창립자 스티븐 오말리(Stephen O’Malley)와 실험적 작곡가 앤서니 파테라스(Anthony Pateras)의 협업은, 각기 다른 사운드 철학이 부딪히며 새로운 감각의 지형을 만들어냅니다.

이번 앨범 ‘Sept duos pour guitare acoustique & piano préparé(어쿠스틱 기타와 프리페어드 피아노를 위한 일곱 개의 이중주)’는 전자음 없이 오직 어쿠스틱 기타와 프리페어드 피아노만으로 구성되며, 모든 것이 오버더빙 없이 실시간으로 연주됩니다.

‘파테라스’는 피아노 내부에 오브제를 삽입해 타악기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음색을 만들어내고, ‘오말리’는 슬라이드와 개방현의 배음을 통해 서서히 진동하는 하모닉 필드를 구축합니다.

이 작업은 전통적인 박자와 구조를 배제하고, 선형적 흐름 대신, 두 악기 사이의 미세한 긴장과 공명이 주도하는 섬세한 청취 환경이 조성됩니다. 청취자는 예측 가능한 리듬을 따르기보다, 그 안에서 발생하고 소멸하는 소리의 순간들에 집중하게 됩니다.

‘깊은 청취’란 무엇인가, ‘듣는 행위’는 어떻게 가능한가 이 앨범은 그러한 근본적 질문을, 침묵과 공명의 사이에서 던지고 있습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이번 앨범 ‘Sept duos pour guitare acoustique & piano préparé(어쿠스틱 기타와 프리페어드 피아노를 위한 일곱 개의 이중주)’는 ‘Infrathin’과 ‘Sublime’ 사이 어딘가에 위치합니다.

음향적 여백과 감각의 미세한 진동, 무너진 시간 속에서 청취자는 ‘듣는다’는 행위 그 자체를 다시 경험하게 됩니다.

Tilt는 이 작업을 통해, 소리와 침묵 사이의 감각적 균열, 그리고 그 안에서 피어나는 내밀한 교감을 함께 듣고자 합니다.

#Infrathin_Reveries



Stephen O’Malley & Anthony Pateras – Sept duos pour guitare acoustique & piano préparé
발매일: 2023년 9월 7일
총 7곡, 1시간 1분

1. déjà rêvé (이미 꿈꾼)
2. déjà vécu (이미 살아본)
3. déjà voulu (이미 원했던)
4. déjà senti (이미 느낀)
5. déjà su (이미 알았던)
6. déjà trouvé (이미 발견한)
7. déjà raconté (이미 이야기된)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Stephen O’Malley & Anthony Pateras – Sept duos pour guitare acoustique & piano préparé [2023]
— Between Silence and Resonance, a Record of Devout Listen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Stephen O’Malley, founder of the drone metal band Sunn O))), and experimental composer Anthony Pateras creates a new sensory landscape where distinct sound philosophies collide.

 

This album, Sept duos pour guitare acoustique & piano préparé (Seven duos for acoustic guitar & prepared piano), is composed solely of acoustic guitar and prepared piano without any electronic sounds, and everything is performed in real-time with no overdubs.

 

Pateras inserts objects inside the piano to create percussive and unpredictable timbres, while O’Malley builds a slowly vibrating harmonic field through the overtones of slides and open strings.

 

This work eschews traditional rhythm and structure. Instead of a linear flow, it fosters a delicate listening environment driven by the subtle tension and resonance between the two instruments. The listener is prompted to focus on the moments of sound as they emerge and decay, rather than following a predictable rhythm.

 

What is "deep listening"? How is the "act of listening" possible? This album poses these fundamental questions between silence and resonance.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This album, Sept duos pour guitare acoustique & piano préparé, is situated somewhere between "Infrathin" and "Sublime."

 

Amidst the acoustic voids, the subtle vibrations of sensation, and a collapsed sense of time, the listener re-experiences the very act of "listening."

 

Through this work, Tilt invites you to listen together to the sensory fissure between sound and silence, and the intimate communion that blossoms within it.

 

#Infrathin_Reveries


Stephen O’Malley & Anthony Pateras – Sept duos pour guitare acoustique & piano préparé
Release Date: September 7, 2023
7 tracks, 1 hour 1 minute

  1. déjà rêvé (already dreamed)
  2. déjà vécu (already lived)
  3. déjà voulu (already wanted)
  4. déjà senti (already felt)
  5. déjà su (already known)
  6. déjà trouvé (already found)
  7. déjà raconté (already told)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within the Phonic Cycle, a sound curation program in our space, during Tilt's August theme period. The listening experienc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t every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daily.

 

Chra – On a Fateful Morning [2017]

— 감각과 기억 사이, 소리를 설계하는 자

 

Chra는 오스트리아 빈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운드 아티스트 크리스티나 네멕(Christina Nemec)의 프로젝트입니다.

그녀는 음악을 제작하는 창작자의 위치를 넘어, 내면과 외부 세계의 경계를 따라 심리-지리적 지도(Psychogeographical Map)를 그려내는 음향 설계자로 평가받습니다.

 

초기에는 펑크 씬과 퀴어 페미니스트 퍼포먼스 밴드 활동을 거쳐, 자신의 레이블 ‘Comfortzone’ 운영과 라디오 호스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운드와 정치, 정체성, 장소성을 연결해 왔습니다.

 

그녀의 작업은 늘 기존의 인식 구조를 해체하고, 소리를 통해 감각의 새로운 지형을 탐색하려는 시도로 이어졌습니다.

 

Chra의 음악은 즉흥성이 아닌, 사전 구성된 감각 구조에 가깝습니다. 정교하게 배치된 사운드는 건축적이며, 구조는 느리게 확장되거나 거의 멈춰 있는 듯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현실의 파편은 필드 레코딩과 저주파, 아날로그 질감을 통해 비현실적 음향 사건으로 전이됩니다.

 

특히 ‘on a fateful morning’은 그녀의 사운드 세계가 가장 깊이 구현된 작업입니다. 이 앨범에서 사운드는 하나의 ‘자율적 시공간 연속체’로 구성된 분위기 그 자체로 작동합니다.

 

두텁고 낮은 베이스 드론, 부유하는 신스, 식별이 어려운 샘플들이 최면 상태처럼 반복되며 청취자를 정의되지 않은 감각의 장으로 이끕니다.

그녀의 음악은 불협과 균형, 현실과 추상의 사이에서 조용히 진동합니다. 분명한 방향 없이 흘러가는 사운드는, 의미 이전의 감각, 현실과 상상의 중첩, 존재와 부재의 불안정한 경계를 따라 확산됩니다.

 

확정적인 메시지를 제시하기보다는, 잠재의식 깊은 곳에 잠들어 있던 기이하고 음모적인 기억을 서서히 깨우며, 청취를 통해 공간을 감각하고 내면을 통과하는 방식을 다시 묻습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그중 Chra의 on a fateful morning’은 인프라신, 즉 감지되지 않은 채 잠복해 있던 감각이 기억과 감정의 저편에서 서서히 반응을 일으키는 층위에 주목합니다.

 

이 앨범의 사운드는 구조를 따라가기보다 침묵처럼 남은 정서의 잔향과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떠도는 감각의 흐름을 따라 움직입니다.

Tilt는 이 작품을 통해, 감각이 발생하기 직전의 상태를 음미하는 청취를 제안합니다.

 

#Infrathin_Reveries

Chra – On a Fateful Morning

발매일: 2017년 12월 1일

총 6곡, 33분

 

1. Cognitive Ease

2. Phorusrhacidae

3. Odessatocha

4. Crowded Dream

5. das modul

6. Coisioc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Chra – On a Fateful Morning [2017]

— Between Sensation and Memory, the Architect of Sound

 

Chra is the project of Christina Nemec, a Vienna-based sound artist. She is regarded as more than a creator of music, but as a sonic architect who sketches a psychogeographical map along the border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orlds.

 

Her journey began in the punk scene and with queer-feminist performance bands, and she has since connected sound with politics, identity, and place in various ways, including running her own label, 'Comfortzone,' and hosting a radio show. Her work has always been an attempt to dismantle existing structures of perception and to explore new sensory topographies through sound.

 

Chra's music is less about improvisation and more akin to a pre-configured sensory structure. The meticulously placed sounds are architectural, existing in forms that expand slowly or seem almost to stand still. Fragments of reality are transmuted into surreal sonic events through field recordings, low frequencies, and analog textures.

 

On a Fateful Morning stands out as the deepest embodiment of her sound world. On this album, sound itself functions as an atmosphere, constructed as an "autarchic time-and-space-continuum". Thick, low bass drones, floating synths, and unidentifiable samples repeat in a hypnotic state, leading the listener into an undefined field of sensation.

 

Her music quietly vibrates between dissonance and balance, reality and abstraction. The sound, flowing without a clear direction, diffuses along the lines of pre-cognitive sensation, the superimposition of reality and imagination, and the unstable boundary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Rather than presenting a definitive message, she slowly awakens strange and conspiratorial memories dormant in the depths of the subconscious, questioning anew the way we sense space and traverse our inner world through listening.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Among them, Chra's On a Fateful Morning focuses on the "infrathin" — the layer where latent, undetected sensations begin to react from beyond memory and emotion. The concept of "infrathin," coined by Marcel Duchamp, refers to a subtle, almost imperceptible separation or interval between things.

 

The sounds in this album move not by following a structure, but by tracing the afterglow of emotions that remain like silence and the flow of sensations that drift betwee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Through this work, Tilt proposes a mode of listening that savors the state just before sensation arises.

 

Chra – On a Fateful Morning

Release Date: December 1, 2017
6 tracks, 33 minutes

  1. Cognitive Ease
  2. Phorusrhacidae
  3. Odessatocha
  4. Crowded Dream
  5. das modul
  6. Coisioc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within the Phonic Cycle, a sound curation program in our space, during Tilt's August theme period. The listening experienc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t every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daily.

 

Pita - Get In [2016]

— 질서 바깥에서 울리는 감각의 조건

 

피터 레버그(Peter Rehberg, 예명 Pita)는 1990년대 이후 실험 전자음악의 흐름에서 가장 급진적이면서도 핵심적인 좌표 중 하나로 기억됩니다. 그는 노이즈라는 명칭에 갇히지 않는, 작곡가이자 큐레이터로서 소리의 물성, 감각의 경계, 그리고 존재의 균열을 끊임없이 사유해온 인물입니다.

 

런던에서 태어나 오스트리아 빈에 정착한 그는, 음악을 장르로 분류하고 규격화하려는 산업적 관성에 강한 회의감을 품고 있었습니다.

그에게 장르는 ‘작은 신발 상자’에 불과했으며, 소리는 그 안에 갇히지 않아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그의 작업은 언제나 소리 자체의 물리성과 불안정성, 그리고 그로부터 파생되는 청취의 심리적 파열에 주목해 왔습니다. 그의 음악은 종종 “절반은 즉흥, 절반은 혼돈”으로 요약되곤 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무작위의 결과가 아닌, 예측 불가능한 흐름 속에서 청취자가 감각의 경계를 새롭게 인식하도록 설계된 구성적 실험이었습니다.

 

또한 그는 1995년부터 본인이 직접 공동 설립 및 운영해온 레이블 에디션스 메고(Editions Mego)를 통해 급진적 실험을 지속해온 수많은 동시대 작가들과의 청취 생태계를 조율해왔습니다. 이 레이블은 특정한 미학보다는 타협하지 않는 사운드 태도를 공유하는 장으로 기능해 왔습니다.

 

특히 ‘Get In’은 에디션스 메고에서 발매된 그의 12년 만의 솔로 앨범으로, 보다 밀도 높은 사운드 구성과 사유적 리듬으로 주목받았습니다. 폭발적인 에너지로 대표되던 초기작과 달리, 이 앨범은 반복과 지연, 긴 침묵과 돌발적인 균열을 통해 사운드가 아닌 ‘청취의 시간’ 자체에 천착합니다.

 

모듈러 신스와 하드웨어 기반의 접근을 통해 그는 컴퓨터 화면 너머의 질서를 벗어나 직관적이고 비재현적인 청취의 장을 만들어 냅니다. 그 안에서 우리는 소리가 발생하고 소멸하는 찰나, 그 어떤 구조도 감당할 수 없는 긴장의 순간과 마주할지도 모릅니다.

 

피터 레버그는 음악을 특정한 감정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호가 아닌, 듣는 행위 자체를 되묻는 하나의 존재 조건으로 제시했습니다. 그의 유산은 음반이나 소리에 머물지 않으며, 청취라는 행위를 근본적으로 다시 묻는 그의 방식 속에 살아 있습니다.

 

 

Tilt에서의 청취 제안

 

8월, Tilt는 ‘감각의 구조’를 세 개의 키워드 ‘인프라신, 서브라임, 시뮬라크르’로 나누어 탐색합니다.

 

피터 레버그의 음악은 이 세 개념이 교차하는 지점에 놓여 있지만, 특히 그의 사운드는 ‘인프라신’이 말하는 감지 불가능한 감각의 문턱에서 시작됩니다.

 

거의 들리지 않는 파열과 미세한 진동, 소리와 침묵 사이의 모호한 간극은 청취자에게 익숙한 구조나 감정을 허락하지 않으며, 감각의 흐름을 다시 정렬하게 만듭니다.

 

우리는 ‘Get In’이라는 작품을 통해 소리의 부재를 마주하고, 감각의 빈틈을 견디며, 그로부터 청취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다시 사유하게 됩니다.

 

이 앨범은 단지 음악을 듣는 시간이 아니라, 감각의 입구에 잠시 머무는 일, 그리고 그 입구 너머의 긴장을 감지하는 조용한 훈련이 될 수 있습니다.

 

#Infrathin_Reveries

 

 

Pita – Get In

발매일: 2016년 5월 14일

총 7곡, 41분

 

1. Fvo

2. 20150609 I

3. Aahn

4. Line Angel

5. S200729

6. 9U2016

7. Mfbk

 

 

#Tilt_Phonic_Cycle

 

현재 소개되는 앨범들은 Tilt 8월 테마 기간 중, 공간 내 사운드 큐레이션 프로그램인 포닉 사이클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재생되고 있습니다. 청취는 시간마다 매일 다르게 배치되며, 매일 새로운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Pita - Get In

— A Condition of Sensation Resonating Beyond Order

 

Peter Rehberg, known by his alias Pita, is remembered as one of the most radical yet pivotal figures in the trajectory of experimental electronic music since the 1990s. He was an artist who refused to be confined by the term "noise," a composer and curator who constantly contemplated the materiality of sound, the boundaries of sensation, and the fissures of existence.

 

Born in London and later settling in Vienna, Rehberg held a deep skepticism towards the industrial tendency to classify and standardize music into genres. To him, a genre was nothing more than a "little shoebox," and he believed sound should not be confined within it.

 

His work consistently focused on the physicality and instability of sound itself, and the resulting psychological ruptures in the act of listening. His music is often summarized as "half improvisation, half chaos." This approach was not a random outcome but a compositional experiment designed to make the listener perceive the boundaries of sensation anew within an unpredictable flow.

 

Furthermore, through the label Editions Mego, which he co-founded and ran from 1995, he orchestrated a listening ecosystem with numerous contemporary artists who pursued radical experimentation. The label has functioned as a platform sharing an uncompromising attitude towards sound rather than a specific aesthetic.

 

In particular, Get In, his first solo album in 12 years released on Editions Mego, garnered attention for its denser sound composition and contemplative rhythm. Unlike his earlier works, which were characterized by explosive energy, this album delves into "the time of listening" itself through repetition, delay, long silences, and sudden fractures.

 

Through a modular synth and hardware-based approach, he moved beyond the order of the computer screen to create an intuitive and non-representational field of listening. Within it, we may confront the fleeting moments of sound's emergence and disappearance, moments of tension that no structure can contain.

 

Peter Rehberg presented music not as a symbol for conveying specific emotions or messages, but as a condition of existence that questions the act of listening itself. His legacy resides not merely in his records or sounds, but in his method of fundamentally re-examining the act of listening.

 

A Listening Proposal from Tilt

 

In August, Tilt explores the "Structure of Sensation" through three keywords: "Infrathin," "Sublime," and "Simulacra."

While Peter Rehberg's music lies at the intersection of these three concepts, his sound, in particular, begins at the threshold of imperceptible sensation that "infrathin" describes.

 

The nearly inaudible ruptures, the minute vibrations, and the ambiguous gap between sound and silence do not permit the listener familiar structures or emotions, forcing a realignment of the flow of sensation.

 

Through the work Get In, we are made to confront the absence of sound, to endure the gaps in our senses, and from there, to rethink how listening operates.

 

This album is not merely a time for listening to music, but can be a quiet training—an act of momentarily pausing at the entrance of sensation and detecting the tension that lies beyond that entrance.

 

Pita – Get In

Release Date: May 14, 2016
7 tracks, 41 minutes

  1. Fvo
  2. 20150609 I
  3. Aahn
  4. Line Angel
  5. S200729
  6. 9U2016
  7. Mfbk

#Tilt_Phonic_Cycle

The albums currently being introduced are played sequentially within the Phonic Cycle, a sound curation program in our space, during Tilt's August theme period. The listening experience is arranged differently each day at every hour, leading to a new sensory experience daily.

2025.08.07 THU 21:00

 

Raido Endless : 
The Cure
— 치유

안녕하세요. 이번 목요일, 라디오 엔들리스의 게스트 큐레이터로 함께하게 된 남희승입니다.

세상의 모든 음악에는 치유의 힘이 깃들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패션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때때로 자신에 대한 의심과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쉽게 떨쳐내지 못하며 지내는 것 같습니다. 마음 어딘가 아파올 때, 음악은 그 아픔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 주기에 많은 위로를 받곤 합니다.

제 마음의 모양을 닮은 곡들을 모아보았습니다. 잡을 수도 없고 형체도 없이 공기 중에 스며들어, 어떠한 강요도 없이 마음을 이끌어 주는 음악. 그 음악이 흐르는 대로, 울어도 보고 사랑도 느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한 시간 동안, 시간의 흐름을 잠시 잊으시길 바라며 즐거운 마음으로 리스트를 구성해 보았습니다.
이런 특별한 기회를 마련해 주신 틸트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Curated & Photos by Guest Listner,
남희승 @eatsheeseung 

1. Panda Bear - You Can Count on Me [2012]
2. Massive Attack - What Your Soul Sings [2003]
3. Venetian Snares - My Love Is a Bulldozer [2014]
4. Bvdub - Not Yours to Give [2020]
5. Tim Hecker - Pulse Depression [2023]
6. Yellow Swans - Limited Space [2010]
7. Ancient Methods - When All Is Said and Done [2016]
8. Discovery Zone - Blissful Morning Dream Interpretation Melody [2020]
9. Azrel - Breath [2023]
10. Monks Of The Abbey Of Notre Dame - Introit Benedicta Sit [1998]
11. Bon Iver - 33 “GOD” [2016]
12. Actress - Holy Water [2012]
13. Björk - All Is Full of Love [1997]
14. Keith Canisius - Swim [2016]



*About #Tilt_Radio_Endless 010 :
매주 수·목 저녁 9시, 틸트에서 열리는 청취 프로그램입니다.
익숙한 감정과 누군가의 기억, 느슨하게 흐르는 감각들로 하나의 시간이 천천히 이어집니다. 틸트가 직접, 혹은 게스트 큐레이터와 함께 만들어갑니다.

 

Hello. My name is Heeseung Nam, and I'm thrilled to be the guest curator for Radio Endless this Thursday.

 

I believe that all music in the world holds the power to heal. As a fashion student, I sometimes find it hard to shake off self-doubt and a vague fear of the future. Whenever my heart aches, I find great comfort in music because it accepts the pain just as it is.

 

I've gathered a collection of songs that resemble the shape of my own heart. This is music that you can't quite grasp, that has no form and simply melts into the air, guiding your heart without any sense of force. I hope you let the music flow through you, allowing yourself to cry and to feel love.

 

I put this list together with the hope that, for one hour, you might forget the passage of time and simply enjoy the moment.

Thank you to everyone at Tilt for giving me this special opportunity.

 

 

*About #Tilt_Radio_Endless 010:

This is a listening program held at Tilt every Wednesday and Thursday at 9 PM. A single hour unfolds slowly with familiar emotions, someone's memories, and loosely flowing senses. It is curated directly by Tilt or together with a guest curator.

 
2025.08.06 WED 21:00 (수요일 저녁 9시)

Radio Endless:
Where music touches light
— 음악과 빛이 스치는 순간

안녕하세요. 틸트의 애청자 김준식입니다.

저는 종종 여행하듯 한강을 찾아 하루를 보내곤 합니다. 특별한 일정이 있는 건 아닙니다. 그저 낮술로 적당히 취기가 오른 채 무작정 신나게 걷다가 다리도 건너보고, 지치면 벤치에 앉아 쉬면서 시간에 따라 변해가는 한강의 다양한 모습들을 천천히, 음악과 함께 감상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내리쬐는 햇볕 아래 윤슬처럼 반짝이던 들뜬 감정은 물과 바람에 쓸려 부드럽게 오르내리다 지는 해와 함께 서서히 잔잔해집니다. 그 뒤에 남는 것은 도시의 차가운 그림자와 쓸쓸함입니다.

이 플레이리스트는 그런 감정의 파동과 결이 맞는 음악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조용하고 은근하게 스며드는 소리들, 말하자면 구름처럼 부드럽고 포근한 음악들입니다. 저는 그런 소리들을 좋아합니다.

스며드는 음악은 사운드스케이프의 일부가 되어 풍경과 서로 공명합니다. 음악은 우리가 마주한 장면들을 더 섬세하고 깊이 있게 감각하도록 도와주고, 반대로 풍경 역시 음악의 울림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 익숙함과 하찮음에 스쳐 지나던 많은 것들이 낯설고 소중하게 감각되기 시작합니다.

결국 우리가 하는 건 단순한 소리의 청취가 아니라 그 순간의 모든 감각과 감정을 음악과 함께 공감각적으로 체험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같은 음악도 체험의 형식 - 누구와, 언제, 어디서, 어떻게 - 에 따라 매번 새로운 음악으로 감각될 수 있는 것이겠지요. 이는 제가 틸트라는 공간을 애정하고 자주 찾는 개인적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모두에게 익숙할 한강의 장면들을 각자의 방식으로 떠올리며 들어보셨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 한강이 아닌 다른 무엇이어도 상관없어요. 그리고 상상 속의 그 풍경이 음악과 조용히 공명하길 바랍니다.

Curated & Photos by Guest Listner,
김준식 @maizymoi

1. Chassol - Birds, Pt. I [2015]
2. Eckman,Elodie Vincent - Manha de Carnaval [2015]
3. Zizi Possi - Deixa Eu Te Regar [1983]
4. Leila Pinheiro - Tudo Em cima [1983]
5. Chassol - Pipornithology, Pt. 2 [2015]
6. Piero Umiliani - Mahè [1970]
7. Ezra Feinberg,David Lackner - Future Sand [2024]
8. yeesangyu - 적당히 부는 바람 [2023]
9. CHS - One Summer Day (feat. mei ehara) [2024]
10. Yoshio Ojima - Biodome [1993]
11. Passepartout Duo & INOYAMALAND - Strange Clouds [2024]
12. Okaya - Clear View [2024]
13. Resavoir - Facets [2023]
14. Kin Leonn - passageway [2023]
15. Kin Leonn - passageway II [2025]
16. Mogwaa - Fluid Joy [2023]
17. Ryuichi Sakamoto - Dream [2000]
18. Mount Maxwell - Sons & Lovers [2023]
19. Tony Peppers - Metropolitan [2020]
20. Astronauts, etc. - Idleness [2018]



*About #Tilt_Radio_Endless 009 :
매주 수·목 저녁 9시, 틸트에서 열리는 청취 프로그램입니다.
익숙한 감정과 누군가의 기억, 느슨하게 흐르는 감각들로 하나의 시간이 천천히 이어집니다. 틸트가 직접, 혹은 게스트 큐레이터와 함께 만들어갑니다.
 
Hello. This is Junsik Kim, a devoted listener of Tilt.
 
I often spend the day at the Han River, as if I'm traveling. There's no special itinerary. I just walk around excitedly, pleasantly buzzed from some daytime drinking, cross a bridge, and when I get tired, I sit on a bench and rest. I simply enjoy the various faces of the Han River as they change with time, all accompanied by music.
 
The excited emotions that sparkled like the sun's reflection on the water are swept away by the river and the wind, gently rising and falling before gradually calming with the setting sun. What remains is the cold shadow of the city and a sense of solitude.
 
This playlist is composed of music that matches the texture and wave of such emotions. They are quiet and subtle sounds that seep in, music that is as soft and cozy as a cloud, so to speak. I like those kinds of sounds.
Music that seeps in becomes part of the soundscape, resonating with the scenery. Music helps us to sense the scenes we encounter more delicately and deeply, and conversely, the scenery enriches the resonance of the music. Many things that used to pass by as familiar and insignificant begin to feel unfamiliar and precious.
 
In the end, I believe that what we are doing is not simply listening to sounds, but synesthetically experiencing all the sensations and emotions of that moment along with the music. In other words, the same music can be perceived as new each time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experience - with whom, when, where, and how. This is also my personal reason for loving and frequently visiting the space called Tilt.
 
I hope you'll listen to this while picturing the familiar scenes of the Han River in your own way. In fact, it doesn't have to be the Han River. And I hope that the scenery in your imagination will quietly resonate with the music.
 
*About #Tilt_Radio_Endless 009:
This is a listening program held at Tilt every Wednesday and Thursday at 9 PM. A single hour unfolds slowly with familiar emotions, someone's memories, and loosely flowing senses. It is curated directly by Tilt or together with a guest curato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