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크 브렛슈나이더 (Frank Bretschneider) 독일의 전자 음악가이자 시각 예술가로, 전통적인 음악 교육 없이실행을 통한 학습으로 자신만의 언어를 구축한 인물이다. 그의 음악은 디지털 미니멀리즘, 정밀한 리듬 구성, 그리고 기계적 질서와 인간적 불규칙성 사이의 긴장감에 뿌리를 둔다.

 

그의 대표작 'Rhythm'리듬 자체 주제로 삼는다. 그는 루프 중심의 전통적 프로그래밍 방식에서 벗어나, 리듬을 재료로 삼는 작곡적 접근을 통해 구획된 시간의 틀을 해체한다. 앨범에서 리듬은 이상 단순 반복의 구조물이 아니라, 복잡하고 때로는 오류를 포함한 유기체처럼 다뤄진다. 특히 'Rhythm'에서 그는 매분 변화하는 짧은 트랙들과 미세 조율된 드럼 프로그래밍을 통해, 패턴의 예측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오히려 안에서 발생하는 비정형성과 변칙적 흐름을 강조한다. 그는루프, 페이드, 전환 편안함 대신, 커팅, 데드 노트, 이상한 마디 등을 사용해 리듬의 경계를 밀어낸다.

 

브렛슈나이더 리듬은 전자적이되 무감각하지 않고, 정렬되었으되 무질서를 내포한다. 그리드 기반의 음악에서 어떻게리듬의 어긋남 의미를 획득할 있는가에 대한 그의 실험은, 디지털 시대의기계적 음악 어떻게 다시 인간적인 감각으로 환원될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Frank Bretschneider is a German electronic musician and visual artist who developed his unique language through 'learning by doing' rather than traditional musical training. His music is rooted in digital minimalism, precise rhythmic structures, and the tension between mechanical order and human irregularity.

 

His seminal work 'Rhythm' centers on the concept of 'rhythm itself.' Moving away from traditional loop-based programming, he approaches rhythm compositionally as raw material,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segmented time. In this album, rhythm is no longer a simple repetitive framework but treated like a complex, sometimes flawed organism. Especially in 'Rhythm,' Bretschneider minimizes predictability through short tracks that change every minute and finely tuned drum programming, emphasizing irregularity and anomalous flow within the patterns. Instead of relying on the comfort of loops, fades, and transitions, he pushes rhythmic boundaries using cuts, dead notes, and odd measures.

 

Bretschneider’s rhythms are electronic but never mechanical, orderly yet inherently chaotic. His experimentation with 'rhythmic displacement' in grid-based music demonstrates how mechanical music of the digital age can be reinterpreted with a distinctly human sensibility.

Frank Bretschneider - Rhythm [2007]

by FNST_SESSION

 

라샤드 베커 (Rashad Becker)는 의식적 존재들이 머무는 청각적 서식지로써의 소리를 다루는 사운드 아티스트다.

 

PAN에서 발표한 Traditional Music of Notional Species 시리즈는 회로 안에서 유기적으로 증식하는 듯한 소리들—중얼거림, 미끄러짐, 찢어짐—을 통해 리듬 없는 구조의 내부 질서를 탐색한다.

 

최신작 'The Incident'에서는 가믈란에서 영감 받은 금속성 타악기, 불확정적 음의 운동, 반복 모티프의 교차 등을 통해 추상적 허구 세계의 사회적 역동성을 음향화한다.

 

그의 음악에서 그리드는 연속적 구조라기보다 모순된 반복이 만들어내는 질서의 환영이며, 패턴은 의례와도 같은 청취의 리듬이다. Becker는 자신의 작업을 “감독자적 입장에서 관리되는 음향 생태계”라 설명하며, 전통적 구성 대신 비선형적 지형으로 청취자를 유도한다. 허구적 서사는 그리드와 패턴이 해체된 자리에서 형성되며, 이는 기술적 탁월함과 급진적 청취가 만나는 지점에서 유동적으로 형체를 얻는다.

 

Rashad Becker is a sound artist who treats sound as an auditory habitat for conscious entities to inhabit.

 

His Traditional Music of Notional Species series, released on PAN, explores the internal order of structure without rhythm—through murmurs, glides, and tears that seem to organically proliferate within electronic circuits.

 

In his recent work The Incident, Becker sonifies the social dynamics of an abstract fictional world, using gamelan-inspired metallic percussion, indeterminate tonal movement, and intersecting repetitive motifs.

 

In his music, the grid is not a continuous structure but an illusion of order produced by contradictory repetitions. Patterns function more like ritualistic rhythms of listening than formal structures. Becker describes his work as a "sonic ecosystem under supervisory management," guiding the listener not through traditional composition but through a nonlinear topography. Fictional narratives emerge in the absence of grid and pattern, taking shape at the intersection of technical mastery and radical listening.

Rashad Becker - The Incident [2025]

 

by FNST_SESSION

 

그리샤 리히텐베르거 (Grischa Lichtenberger)는 리듬을 파괴하는 대신 기계의 한계와 언어의 균열 속에서 재구성하는 독일 출신 예술가다.

 

그는 시퀀서의 그리드를 거부하고, 글로벌 BPM을 강제로 변화시켜 소프트웨어를 과부하 상태로 몰아넣는 ‘drawing restraint’ 방식으로, 리듬을 감각적 구조가 아닌 에러와 균열의 흔적으로 만든다.

 

그의 대표작 KAMILHAN, il y a péril en la demeure는 컴퓨터 생성 보컬과 무언어적 발화, 왜곡된 루프와 박자표의 망가짐을 통해 “구부러진 발라드”를 구성하며, 인식과 전달의 실패를 통해 새로운 청취 감각을 밀수한다. 그에게 음악은 조율된 흐름이 아니라 잔류된 감정과 기술적 잔해의 병치다. 사운드는 아카이브에서 꺼내 반복적으로 재가공되고, 즉흥성과 실시간 피드백 루프를 통해 의도적 불완전성으로 구성된다. 정제된 패턴보다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청자의 ‘회의적인 주의’이며, 짧은 트랙은 몰입보다 각성을 유도한다.

 

리히텐베르거의 음악은 구조 없는 리듬, 패턴 없는 반복을 통해 리듬이 아닌 리듬의 조건을 묻는 사운드 철학이다.

 

Grischa Lichtenberger is a German artist who reconstructs rhythm not by destroying it, but by working within the limits of machines and the fractures of language.

 

Rejecting sequencer grids and forcibly altering global BPMs to overload software, his “drawing restraint” approach renders rhythm not as a sensory structure but as a trace of errors and breaks.

 

His landmark release 'KAMILHAN, il y a péril en la demeure' creates a “bent ballad” using computer-generated vocals, nonverbal utterances, distorted loops, and broken time signatures. Through failures of perception and transmission, he smuggles in a new mode of listening. For Lichtenberger, music is not a coordinated flow, but a juxtaposition of residual emotion and technological debris. Sounds are retrieved from archives and repeatedly reprocessed, built through improvisation and real-time feedback loops with intentional imperfections. More important than polished patterns is the listener’s skeptical attention—his short tracks aim less for immersion than for sudden moments of alertness.

 

Lichtenberger’s music is not about rhythm, but about the conditions for rhythm. Through formless structures and patternless repetitions, he explores a sonic philosophy of rhythm's limits.

Grischa Licthenberger - KAMILHAN, il y a péril en la demeure [2020]

by FNST_SESSION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사운드 아티스트 얀 옐리넥 (Jan Jelinek)은 샘플링과 콜라주 기법을 통해 리듬의 구조를 재구성한다.


그의 2001년작 'Loop-Finding-Jazz-Records'는 잊힌 재즈의 리듬을 다시 흩뜨리는 ‘기억의 반복’. 루프는 규칙처럼 들리지만, 끝내 어디에도 정착하지 않는다. 재즈 레코드에서 추출한 샘플을 밀리초 단위로 해체하고, 미세한 소리와 유기적 질감, 미니멀한 관능미와 견고한 그루브를 교차시키며 리듬의 잔상을 그려낸다.

 

베를린의 작은 아파트에서 Ensoniq ASR-10 샘플러를 중심으로 제작된 이 앨범은, 음향적 회상과 시간의 파편화를 테마로 삼으며 그의 커리어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고, 2017년 재발매를 통해 젊은 세대에게 다시 소개되었다.

 

Berlin-based sound artist Jan Jelinek reconstructs rhythmic structures through sampling and collage techniques.

 

His 2001 release 'Loop-Finding-Jazz-Records' is a “repetition of memory,” scattering the rhythms of forgotten jazz. While the loops may sound like stable patterns, they never quite settle. By disassembling samples from jazz records down to the millisecond, Jelinek crafts a residual sense of rhythm—merging subtle sounds, organic textures, minimal sensuality, and a grounded groove.

 

Produced in a small Berlin apartment using the Ensoniq ASR-10 sampler, the album centers on themes of sonicrecollection and the fragmentation of time. It marked a turning point in his career and was reissued in 2017, introducing a new generation to his singular sound.

Jan Jelinek - Jan Jelinek - Loop-Finding-Jazz-Records [2001]

by FNST_SESSION

+ Recent posts